soma-harmony 2021. 4. 27. 17:17

태극권(太極拳)은 권식의 특징과 성향에 따라 양씨 태극권(楊氏 太極拳), 진씨 태극권(陳氏 太極拳), 오씨 태극권(吳氏 太極拳), 무씨 태극권(武氏 太極拳), 손씨 태극권(孫氏 太極拳)으로 나눕니다.

 

 

중 진씨 태극권은 대부분의 동작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나선형(螺旋形)의 비틀린 움직임이 유발됩니다. 몸을 (타)원으로 움직여 발생하는 나선형의 움직임을 '꼬인 실'이라는 의미의 ‘전사(纏絲, Coiling)’라고 하며, 전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힘을 ‘전사경(纏絲勁, Coiling power, Chan Jin)' 이라고 합다.

 

 

 

(왼쪽) 人身纏絲正面圖 (오른쪽) 人身纏絲後面圖 (일부수정)

 

 

위 그림은 진씨 태극권의 대표적인 책인 진흠(陳鑫)이 지은 "진씨태극권도설(陳氏太極拳圖說)"에서 전사(纏絲, Coiling)를 도식화하여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위 그림에서 나선형의 방향과 관련된 특징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1. 왼쪽 팔/다리의 전사방향

- 좌회선(left handed twist, S-twist) : 위 그림에서 파란색 나선(螺旋)

 

2. 오른쪽 팔/다리의 전사방향

- 우회선(right handed twist, Z-twist) : 위 그림에서 녹색 나선(螺旋)

 

3. 몸통의 전사방향 : 2가지로 나누어

3-1. 왼쪽 배꼽에서 위[上]로 올라가는 전사(빨간색 나선)는 몸통을 우회선한 후, 오른쪽 겨드랑이 부위에서

- 오른쪽 팔에서 우회선하는 전사와 연결되며, 가슴부위를 지나 왼쪽 어깨로 우회선하는 전사는 별개

- 2개의 전사로 구분되어 하나는 오른쪽 팔에서 우회선하는 전사와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가슴부위를 지나 왼쪽 어깨로 우회선하는 전사와 연결

3-2. 오른쪽 배꼽에서 올라가는 전사 : 3-1과 반대.

 

(좌회선과 우회선에 대해서 잘 모르겠으면 여기를 읽어보세요)

 

 

즉, 오른쪽(왼쪽) 겨드랑이에서 앞가슴을 지나 왼쪽(오른쪽) 어깨로 이어지는 전사를 별도로 볼 것이냐?, 아니면 이어진 하나로 볼 것이냐? 2가지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전사가 존재하는 것은 힘[頸]의 흐름상 자연스럽지 못하고, 겨드랑이에서 2가닥의 전사로 나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좀 더 합당해 보입니다.

 

 

전사를 꼬임 방향(좌/우회선)을 무시하고 서로 이어지는 선으로 연결을 하면 2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경우1.

 

 

 

위 그림을 부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파란색 선

좌회선(S-twist)된 왼쪽 발에서 시작된 전사가 위[上]로 올라가 배꼽부위[단전]를 경유하여 체간에서 좌회선(S-twist)되어 왼쪽 겨드랑이에서 2개로 나뉘어

하나는 왼손에서 좌회선(S-twist)방향으로 내려가고,

또 다른 하나는 앞가슴을 지나 좌회선(S-twist)하면서 오른쪽 어깨에서 끝마친다.

 

2. 빨간색 선

파란색선과 반대.

 

 

 

경우2.

 

위 그림을 부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파란색 선

좌회선(S-twist)된 왼쪽 발에서 시작된 전사가 위[上]로 올라가 배꼽부위[단전]를 경유하여 체간에서 우회선(Z-twist)되어 오른쪽 겨드랑이에서 2개로 나뉘어

하나는 오른손에서 우회선(Z-twist)방향으로 내려가고,

또 다른 하나는 앞가슴을 지나 우회선(Z-twist)하면서 왼쪽 어깨에서 끝마친다.

 

2. 빨간색 선

파란색선과 반대.

 

 

 

파란색의 경우

경우1의 경우는 모두 4개 모두 좌회선(S-twist)이지만,

경우2의 경우는 좌회선(S-twist) 1개, 우회선(Z-twist) 3개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경우1이 경우2보다 더 효과적으로 보입니다.

 

 

 

또한 진흠은 "이러한 힘[勁]은 모두 마음[心]에서 나와서 안으로는 뼈에 들어가고, 밖으로는 피부에 도달한다"고 하였습니다.

[출처] 인체에서 나선형 힘방향(1) : 진씨태극권(陳氏太極拳)|작성자 햇님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