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 body/해부학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도서

soma-harmony 2021. 7. 1. 14:31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할때 정상적인 구조나 기능과 마찬가지로 발생학의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려야 한다. 우리는 세포에서 시작하여 다음에 두개 그리고 네개...이렇게 분열을 반복한다. 배아(embryo)의 초기 단계에 필요한 유일한 순환 시스템은 간질액(interstitial fluid)의 리드미컬한 움직임 이다. 이윽고 배아가 커져 표면으로부터 그 모두를 영양소나 노폐물로서 흡수.방산할수 없게 되면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를 발달시켜 신체의 원위로 영양소를 옴기고 노폐물을 가지고 사라지게 된다.

 

간질액의 리드미컬한 움직임과 연동한 심혈관계는 태아의 모든세포를 적신다. 나중에 모양을 유지할 필요성이 발생하면 골격계가 발생한다.

그리고 점차 체중을 지탱하는 필요성에서 골격계가 발달하여 신체의 정상적인 불수의 운동이나 수의운동이 가능해진다.

 

형태와 기능은 완전한 상관관계에 있어 기능이 결정되면 형태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

 

인대성관절스트레인이라는 용어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구조에 발생하는 체성기능장애(somatic dysfunction, SD)를 거의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정상적인 관절이라면 모든 인대의 긴장은 균형이 잡히고 그것에 의해 인접하는 뼈와 뼈는 관절구(articular groove)나 간격(space)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완충 장치는 뼈끼리 과도하게 누르거나, 벌리거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밀리거나, 비틀어지거나, 옆으로 구루러지거나 하는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상이 발생하면 관절을 구성하는 한쪽뼈는 그 생리학적 위치를 넘어 움직일수 없게되어(모두가 아니면)일부 인대는 스트레인을 받는다.

좌우대칭성을 가진 인대중보다 이완되어 있는 쪽이 대부분의 경우 스트레인을 받은 인대이며, 보다 긴장성 톤이 있는 쪽이 정상적인 인대이다.

 

치료의 목적은 쌍방의 긴장의 균형을 잡아 이완된 인대를 정상적 긴장도로 회복시켜 신체가 뼈를 다시 중심으로 되돌릴때까지 그 동등한 긴장을 유지하는 것이다.

관절이 정상적인 생리적 위치에 돌아가면 비로소 인대는 결합조직의 재생에 필요한 3개월의 치유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만약 이 기간 중에 다시 손상을 입지 않았다면 이관절에 대한 그 이상의 치료는 필요 없다.

 

 

H.A. Lippincott는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정골요법장애란 신체 조직의 스트레인이다. 그것이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경우 주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은 인대이기 때문에 Sutherland는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이라는 용어를 좋아했다. 매우 드물게 정상적인 가동역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완전하게 이완된 예도 있지만, 정상적인 관절 인대는 균형이 잡힌 상반 긴장의 위에 구성되어있다.

가동역을 넘는 운동이 강제되면 긴장의 균형이 무너져 인대구조중 그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는 부분은 스트레인을 받아 약해진다.

그리고 스트레인을 받은부분에 의한 상반 긴장의 불균형이 그 장애를 지속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것에 의해 관절 메커니즘은 고정되고 그 자유로움에 의해 정상적인 운동에 지장을 준다.

또한 불균형한 긴장에 의해 뼈는 정상 시 보다 스테레인을 받는 장소에 의해 가까운 위치를 잡게되어 약해진 인대는 장애방향으로 지나친 운동을 허용하게 된다.

반대방향으로의 가동역은 스트레인도 없이 긴장되어 대항할수 없는 부분의 긴장에 의해 제한된다.

 

 

교정 테크닉의 원리

(Principles of corrective technique)

 

  체성기능장애가 있는 장소를 알아냈다면 전위한 뼈가 움직일 수 있도록 관절이나 근막면을 압박하거나 감압하여 장애부를 자유화한다. 다음으로 장애부를 가장 저항이 적은 방향으로 옮겨 상해를 입은 당시에 강제된 위치로 되돌린다. 장애부를 그것이 가고 싶은 방향으로 옮기는 것은 간접법의 치료이며, 체성기능장애의 방향으로 추종하는 것이기도 하다.

  처음의 부상 직후 상해를 입은 부분은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부상을 입은 위치정상적인 기능적 위치도중에서 구속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한다. 그래서 상해를 치유할 때에는 장애부를 정확하게 상해를 입은 당시의 위치로 옮긴 후 신체가 기능장애 주변부의 모든 결합조직들의 "균형"을 다시 잡을 때까지 그 위치를 유지하고 나서 그 정상적인 기능적, 생리적 위치로 되돌린다. 치료는 직접법, 간접법,  간접법과 직접법을 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인대, 관절 이완과 근, 근막 이완은 활성화하는 힘으로서 최상의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테크닉이 성과를 가져오는 것은 자유화, 과장, 균형 작용에 의한다.

  이 세 가지는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테크닉을 이용할 때 잊어서는 안 되는 기본적 요소이다:

 

1. 자유화(disengage): 관절이나 근막면을 압박하거나 감압한다. 장애부가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압력이나 견인을 증가한다.

2. 과장(exaggerate): 예를 들어 회전, 굴곡, 측굴, 후방이동을 사용하여 균형점이나 정지점을 찾을 때까지 장애부를 상해를 입은 당시의 위치로 되돌린다.

3. 균형(balance): 이완(release)이 일어날 때까지 기능장애부를 상해를 입은 위치, 즉 균형점이나 정지점으로 유지한다. 뼈는 장애를 약간 과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 후 그 정상적인 기능적 위치로 되돌아간다.


  • 간접적(indirect): 장애부를 외상이 발생한 방향으로 옮긴다.
  • 직접적(direct): 장애부를 그 정상적인 위치로 옮긴다.
  • 복합적(combined): 우선 간접법을 실시하고 그 테크닉이 완료되면 직접법을 실시한다.

  이완(release)이 일어나면 치료는 종료한다.

이완 테크닉의 종류

  • 인대, 관절 이완(ligamentous articular release): 인대나 관절 구조에 더해진 치료를 가리키고 있다.
  • 근, 근막 이완(myofascial release): 근, 건, 근막에 더해진 치료를 가리키고 있다.

 

운동의 억제에 의한 2차적 생화학적 변화

(Biochemical Changes Secondary to Immobilization)

 

1. 섬유성 지방의 침윤물이 관절낭의 주름이나 오목한 곳에서 발견된다. 관절의 고정이 길어질수록 침윤물의 양이 늘어난다.

 

2. 근막을 구성하는 주요 결합조직 섬유인 콜라겐 섬유 사이에 존재하여 윤활제 역할을 하는 세포간질의 수분이나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이 결핍한다. 콜라겐 섬유의 윤활제는 중요한 섬유간의 거리 유지에 관련하여 섬유와 섬유 사이에 유지됨으로써 순조로운 움직임이 확보된다. 이 거리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 미세한 유착이 형성되어 새로운 콜라겐은 무질서하게 설치되게 된다.

 

3. 12주 이상 고정된 경우 그와 같은 상황 하에서는 분해 속도가 합성 속도를 웃돌아 전체적으로 콜라겐을 잃게 된다.

 

4. 염증성 삼출물이 있는 상태에서 고정된 경우 결합조직의 재형성(remodeling)단축에 의해 관절 구축이 일어난다. 염증성 삼출물이 없다면 사지를 고정해도 구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거듭된 생화학적 변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운동의 억제에 의한 2차적인 생리학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Secondary to Immobilization)

 

1. 고정되어 있던 관절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은 정상적인 관절의 10배에 달한다. 수차례 반복 후 그 힘의 양은 정상적인 것의 3배까지 감소한다. 대부분의 경우 얼마 안 있어 그 관절은 정상적인 가동성을 회복해 간다.

 

2. 실험적으로 고정된 쥐의 무릎에 대해 고속 테크닉이나 가동역 테크닉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기로 치료를 하면 큰 유착이 파괴되어 부분적으로 가동성을 회복한다. 운동은 결합조직의 정상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회복하는데, 고정 기간의 길이에 따라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잃게 된다.

 

3. 관절 주변의 결합조직은 모두 같은 방법으로 반응한다.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이나 관절낭은 모두 운동의 억제에 대해 같은 기본적 반응을 나타낸다. 만약 고정되어 있는 3개월 이내에 그것이 실시된다면 수기(manipulation)에 의한 조작에서 전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근막(Fascia)

 

  A.T. Still은 근막병의 근원이라고 간주하고 있었다. 근막의 스트레인은 뼈를 잡아 당겨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신경, 혈관, 림프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간질액의 흐름도 방해한다. 1998년의 Cranial Academy Conference에서 정골 요법의 해부학자인 Frank Willard Ph.D.는 보다 중요한 조직을 그 안에 숨기고 있는 단순히 애매한 물질로서가 아니라 근막 자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정의하여 연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발생학의 견해에서 근막, 뼈, 모든 결합조직은 간엽(mesenchyme)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결합조직은 체중의 약 16%를 차지하고 체내 수분의 약 25%를 저장하고 있다. 그것은 생물학상의 구조물, 즉 피부(skin), 근육(muscle), 신경초(nerve sheath), 건(tendon), 인대(ligament), 근막(fascia), 혈관(blood vessel), 관절낭(joint capsule), 골막(periosteum), 뼈(bone), 지방조직(adipose tissue), 연골(cartilage)이나 내부 기관(internal organ)의 구조를 형성한다. 결합조직(여기에서는 특히 근막에 중점을 두고 있다.)에는 독특하게 변형하는 성질이 있다.

 

  그 독특한 특성은 근막의 점성탄성에 기인하여 그들은 신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회복시키는 수기(manipulation)에 의해 변화한다. 점성과 탄성을 함께 갖기 때문에 근막에는 영속성(점성)과 일시성(탄성), 쌍방의 변형 특성이 있다. 또한 근막은 장기간의 신장을 허용하는 유연한 성분과 그 수축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에 관한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근막과 뼈는 4가지의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한다. Wolff의 법칙에는 이렇게 설명되어 있다.

 

  뼈의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의 모든 변화(혹은 기능만의 변화)는 그 내부 구조가 있는 명확한 변화나 외부 구조의 2차적 변화에 계속해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뼈는 스트레인이 가해지는 선을 따라 구축된다.

이 프로세스는 정확히 근막이나 모든 결합조직에도 해당된다.

 

 

관절 수기재활

1) 부츠잭(bootjack) 기법

종골 부위의 통증, 발목통증, 발목 기능제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출처]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Conrad A. Speece, D.O 외. 신흥메드싸이언스

- 환자는 앙와위로 편안히 눕고 다리의 힘을 이완한다.

- 검사자는 교정하는 다리의 옆에 있고 검사자의 옆구리와 팔꿈치 사이로 환자의 다리를 끼운다.

- 검사자의 안쪽 손은 종골 근위부를 접촉하고 다른 한 손은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싼다.

- 검사자는 종골을 하방으로 견인하고 발가락은 족저굴곡 한 다음 거퇴관절의 간격이 늘어나도록 저항한 다음 이완이 될 때까지 유지한다.

2) 전방거골기법

거골이 전방변위가 되어 족배 굴곡 제한이 있을 경우에 진행한다. 좌우의 발을 비교했을 때 거골이 전방된 부위는 돌출된 것을 촉지 할 수 있다.

- 환자는 앙와위로 편안히 눕고 다리의 힘을 이완한다.

- 검사자는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에 양손을 접촉한 다음 수직으로 저항이 생길 때까지 압력을 천천히 가한다.

- 저항이 생긴 지점에서 이완이 될 때까지 유지한다.

[출처]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Conrad A. Speece, D.O 외. 신흥메드싸이언스

3) 후방거골기법

거골이 후방변위가 되어 족저 굴곡 제한이 있을 경우에 진행한다.

- 환자는 앙와위로 편안히 눕고 발목을 테이블 밖으로 빼고 다리의 힘을 이완한다.

- 검사자는 발을 전체적으로 감싼 다음 수직으로 저항이 생길 때까지 압력을 천천히 가한다.

- 저항이 생긴 지점에서 이완이 될 때까지 유지한다.

[출처]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Conrad A. Speece, D.O 외. 신흥메드싸이언스

4) 경골과 비골을 이용한 발목 재활기법

발목 부위의 통증, 발목통증, 발목 기능제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 환자는 앙와위로 편안히 눕고 다리의 힘을 이완한다.

- 검사자는 환자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한 및 통증이 유발되는지 확인한다.

- 검사자의 한 손은 내과(경골 원위부) 또 다른 한 손은 외과(비골 원위부)를 접촉한다

- 검사자는 경골을 전방으로 비골은 후방으로 지긋이 밀어 저항이 생기는 지점까지 간다.

- 환자로 하여금 제한 및 통증이 있던 방향으로 능동적 운동을 2~3회 시킨다. 긍정적인 반응이 있다면 6회씩 2번 반복한다.

[출처] 11. 족부 경혈지압 - 다. 족부의 수기방법|작성자 수기코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