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미주 신경 이론 Polyvagal Theory Stephen W. Porges
오늘은 뇌신경 12쌍 중
10번째 신경인 미주신경에 대해서
새롭게 대두 되어 인정받고 있는
다미주 신경(polyvagal)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미주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신경으로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하며,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합니다.
미주신경핵은
연수(medulla)에 존재하며,
주운동핵, 부교감신경핵, 감각핵의
세종류의 신경핵으로
이루어 집니다.
주운동핵
|
연수의 그물체의 심부에 위치
|
원심성 운동신경섬유
|
부교감신경핵
|
연수의 등쪽에 있는 미주신경등쪽핵(dorsal nucleus of vagus nerve)에 위치
|
기관지, 심장,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등의 불수의근 조절
|
감각핵
|
연수의 고립로핵(nucleus of solitary tract)의 아랫부분과 삼차신경 척수핵(spinal nucleus of trigeminal nerve)를 포함
미주 신경 아래 신경절에 위치한 신경세포의 축삭이
고립로 핵에 미각정보 전달
|
체감각, 통증, 온도, 외이로 부터의 감각정보는 미주신경의 위신경절을 거쳐서 삼차신경 척수핵으로 들어온다.
|
미주신경핵 중 감각핵의 경로로 인해
우리가 통증, 온도, 체감각정보로
들어오는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여
얼굴 표정으로 표출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미주 신경은 여러 중요한 기관들에 부포되어 있으며
원심성운동신경섬유는
인두의 수축근과
후두의 속근육들을 지배하여
말하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주신경의 부교감신경섬유는
심장박동, 창자의 연동운동,
땀 분비 등을 조절하게 됩니다.
반면, 구심성 감각신경섬유는
몸 전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감각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원심성 운동신경섬유와
구심성 감각신경섬유의
비율이 약 20:80 정도입니다.
감각을 전달하는 기능이
훨씬 더 많은 것입니다.
그리고
미주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미주신경실신
|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항진되면 일시적으로 뇌혈류가 감소하게 되는 경우
|
극도의 스트레스, 긴장, 감정적인 변화가 불안정한 경우로 인해 생기는 실신 현상
|
삼킨장애
구음장애
|
미주신경의
원심성운동신경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
|
위마비
|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소장으로 내려보내지 못하는 경우
|
|
지금까지는 여기까지의
이론을 통해 무대공포증을 이해하고
설명했었습니다.
하지만 다미주이론에서는
새로운 방향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Polyvagal Theory를 발견한 사람은
Stephen W. Porges 박사입니다.
다미주 신경에서는
부교감신경에 주목하며,
부교감신경을
계통발생적 근거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서 봅니다.
유수미수신경 경로인
배쪽 미주신경과
무수미주신경 경로인
등쪽 미주신경으로 나뉘며
그 두개의 역할의 보면
트라우마 상황에서
사람들이 왜 얼어붙고 대처를 못하게 되는지
해리 현상을 겪게 되는지도 설명이 됩니다.
이처럼 다미주이론에서는
자율신경계가 단지 한 쌍의 대립적인 체계가 아니라,
위의 그림에서 처럼
세가지 하부 체계로 구성된
위계적 시스템이었다는 것으로 개념화 됩니다.
그리고, 그 위계는
새로운 회로가
오래된 회로를 억제하는
진화의 기능으로 조직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새로운 회로는
유수미주신경경로의 사회참여를 가능케 하는
포유류의 특징을 말하며,
오래된 회로는 계통발생적으로 오래된
교감신경계에 의해
활성화되는 가동화로
여겨집니다.
포유류로 진화하면서
사회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고
안정감은 느끼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면대면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 안정감을 찾게 되면
활성화 되었던 교감신경이 완화되어
Fight/Flight 반응이 약화되는
포유류만의 독특한 체계가
형성된 것입니다.'
또한 이 이론에서 등장하는
주요한 개념 중에
신경지(Neutoception)라는 것이 있습니다.
신경지는 의식없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반응기재이며,
환경의 위험을 의식없이 평가합니다.
포지 박사도 MRI 검사시에
신경지가 작동하는 것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신경지는 인지적 과정이 아니며,
의식하기 전에 일어나는 신경계의
과정입니다.
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단서에서
위험을 평가하고
여기에 적응적으로
반응하기 위해
자율신경 상태로 전화하는
신경회로 영향을 받습니다.
(아마 동물적 감각으로
동물들이 지진을 느끼고
태풍을 먼저 감지하고 하는 것이
신경지의 발화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다미주 이론에서는 세가지 단계로
위험 상태를 구분합니다.
생명의 위협
|
Freeze
|
등쪽미주신경
|
위험
|
Fight/Flight
|
교감신경
|
안전
|
사회참여체계
|
배쪽미주신경
|
그리고 이 신경지의 중요한 특징은
사회 참여체계를 작동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때, 사회 참여 체계는
포류류만의 독창적인 혁신인 자율신경계의
신경조절로
사회적 상호 자굥을 가능케 하여
생리적 상태를 진정시키고
건강과 성장과 회복을
지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핵심은
같은 사건이 여러 사람에게서
다양한 신경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고,
이것이 각자 다른 생리적 상태를 불러 일으킨다는
점입니다.
https://blog.naver.com/kiminnia/2220676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