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수련 Training/태극권

태극권 호흡

soma-harmony 2020. 12. 16. 09:59

호흡(呼吸)

 

1. 호흡사상(呼吸四相)

“망(望), 문(?), 문(?), 절(切)”은 한의학에서 진찰하는 4종류의 중요한 방법이며, 사실 한 개만 요구해도 수양(修養)을 준비하는 사람은 호흡 가운데 건강상태 및 수명의 길고 짧음을 헤아릴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호흡을 4종류의 현상으로 나누어 관찰하였으며, 그런 다음에 그 결점을 치료하였다.

 

1) 풍상(?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마음속의 감각은 소리가 들린다.

 

2) 천상(喘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비록 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그러나 호흡이 가쁘며 원활하지 못하다.

 

3) 기상(氣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비록 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출입하는 숨결이 조용하며 가늘지 못하다.

 

4) 식상(息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미세하며 끊임없이 있는듯하기도 하고 없는듯하기도 하며, 자기의 콧김이 출입하는 감각이 없다.

 

앞의 1) ~ 3) 종류의 호흡현상은 모두 부조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쉽게 저지르는 3종류의 문제점으로 3종류를 멈추지 않고 다스리는 것이 좋다. 이후에 비로소 4종류의 겉모습이 발생한다. 풍상(?相), 천상(喘相), 기상(氣相)의 호흡은 모두 거칠고 빠를 뿐만 아니라 정서가 안정이 되지 않거나, 마음이 편안하지 않으며, 그래서 총명한 사람은 큰 스승이 선을 베풀면 물결에 가까워 멀리 퍼지는 것이 두 번째 답안 이라고 말한다. “호흡이 마치 바람과 같은 사람의 마음속은 반드시 산란하다. 호흡을 헐떡이는 사람은 감정이 엉겨 붙어 정체되어 원활하지 못하다. 호흡이 기류(氣流)인 사람은 심신이 쉽게 피곤하다.”라고 했으며, 어떻게 이러한 3종류의 호흡을 치료하는 게 좋은가? 가장 좋은 방법은 태극권을 연습하는 것이 좋고 혹은 한참 동안 정좌를 배우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태극권은 조용하게 연습하고 모든 신체를 느슨하게 이완하며, 마음은 홀가분하고 이후에 목주변의 근육을 이완하면 기(氣)는 정수리를 관통하고, 기(氣)를 단전(丹田)에 가라앉히며, 한 호흡 한 호흡이 모두 가볍고 균일하며 완만하면서도 미세해 끊임이 없다. 미세한 호흡을 지키는 것에만 있으며 마음을 안정시키면 식상(息相)의 단계에 진입할 수 있고 선정(禪定)의 경지에 오르게 된다. 정좌(靜坐)를 할 때 앞에서 저지르는 3종류의 문제점이 나타나 안정시킬 수 없으면 “수식법(數息法)”을 받아들여 사용한다.

 

태극권을 연습할 때에는 천식을 조절하는 것은 어려우며, 눈으로 중지를 바라보며 완만하게 진행한다. 모든 행동은 한번은 펼치고 한번은 모으며, 한번은 나아가고 한번은 물러나며, 한번은 들이마시고 한번은 내쉬며, 반드시 가장 부드럽고 가장 가늘게 시작해 한 개의 식(式)을 숙련되도록 연습하고 난 뒤에 연관되게 연습하고, 반드시 각 식(式)은 완만하고 기(氣)가 배꼽으로 돌아가며, 침착하고 느슨하게 풀어주어 신체가 편안해져야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람의 호흡을 4종류로 나누는 방법은 “호흡이 짧으며 깊지 않고, 다만 후두(喉頭)로 출입하는 이것이 가장 나쁜 한가지이다. 호흡이 폐 부위까지 도달하며 이것은 보통 사람들에게 적절한 호흡이다. 호흡이 아랫배까지 도달하며 이것은 도가(道家)에서 조절하고 관찰하는 호흡이다. 호흡이 깊고 가늘며 자기도 감각을 느낄 수 없으며, 마치 기식(氣息) 계통인 것 같으나 전신의 모공으로 출입한다.”는 이것은 도가(道家)에서 조절하고 관찰하는 최고의 기술이며 명사(名師)가 아니면 바로잡아 줄 수가 없다.

 

2. 육기치병요결(六氣治病要?)

불가(佛家)에서 말하길 “심장은 가(呵)에 배속하고, 신장은 취(吹)에 속하며, 비장은 호(呼), 폐장은 희(?)의 신통한 솜씨를 알고, 간장의 열이 발생하면 허(噓) 자가 가장 좋고, 삼초(三焦)에 막힌 부분은 희(?) 자를 말한다.”고 했다. 이렇게 여섯 글자의 장생 비결은 또한 “육기치병요결(六氣治病要?)”이라고 부른다. 도장(道藏)의 조섭편(??篇)에서 말하길 “새벽에 잠을 자고나서 먼저 마음이 깨고 나중에 눈을 뜬 이후에 양손을 마찰해 열이 나면 눈을 수십 회 문지르고 눈을 왼쪽으로 돌리고, 오른쪽으로 각각 9회를 돌리며, 잠시 숨을 멈추고, 갑자기 뜨거운 바람을 물리쳐 제거하고, 옷을 풀어 앉고 일어나며, 고치(叩齒)로 정신을 집중하고, 명천고(?天鼓) 다음엔 가(呵), 호(呼), 희(?), 취(吹), 허(噓), 희(?) 등의 육자결(六字訣)로 탁기(濁氣)는 토해내고 청기(淸氣)는 들이마신다.”고 했고, 육기(六氣)를 이해하려면 여섯 글자를 이해해야한다.

 

여섯 글자는 “가(呵:he?), 호(呼:hu?), 희(?:si?), 취(吹:chui??), 허(噓:xu?), 희(?:xi?)”로 인체에 있는 심장, 비장, 폐장, 신장, 간장, 삼초 등의 여섯 개 부위로 불교에서 말하는 암(唵:?n), 마(?:ma), 니(?:ne), 팔(叭:b?), 미(?:mi ), 후(吼:h?u)와 같다.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영(?), 신(神), 성(性), 혼(魂), 의(意), 백(魄)이다. 하늘에 부합되는 오성(五星)은 즉, 화성, 토성, 금성, 수성, 목성이다. 땅에 부합되는 오악(五岳)은 즉, 형산(衡山), 숭산(嵩山), 화산(?山), 항산(恒山), 태산(泰山)이다. 도가(道家), 불가(佛家), 의가(醫家)는 물론 이렇게 육자결(六字訣)을 연습하기만 하면 “육신(六神)”이 하나가 되어 각종 만성병인 고혈압, 심장병, 반신불수 등의 각종 신경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끊임없이 오랫동안 지속해야 그 효과가 나타난다. 병이 없는 사람이 연습하면 신체의 건강을 지키고 정신은 왕성해지며 각종 질병이 침입하지 못한다.

 

공법(功法)을 연습할 때 잠을 자기 전에 반듯이 눕고 양발을 어깨 넓이만큼 벌리고 양팔은 신체의 양쪽 측면에 놓고, 전신은 가볍고 자연스러워야지 힘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입으로 발음할 때에는 다만 밖으로 소리가 나지 않아야하며, 동시에 뇌 속에서 “가(呵)” 자를 상상하고, 심장의 부위이며, 발음할 때 입으로 “가(呵)”는 목구멍 음으로 화(火)에 속하고, 심장의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가(呵)”는 복부를 최대한 움푹 들어가게 하고 이후에 코로 흡기하여 예방한다. 두 번째 “호(呼)” 자로 호(呼)는 목구멍 음으로 토(土)에 속하고, 비장의 탁기(濁氣)를 제거하고 이와 같이 한자 한자를 실시한다. 속도는 느리면 느릴수록 좋고 조용할수록 좋다. 세 번째 “희(?)” 자로 희(?)는 입술을 모으는 음으로 금(金)에 속하고, 폐장의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네 번째 글자는 “취(吹)” 자로 취(吹)는 입술을 모으는 음으로 수(水)에 속하고, 신장의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다섯 번째 “허(噓)” 자로 허(噓)는 입술을 모으는 음으로 목(木)에 속하고, 간장의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여섯 번째 “희(?)” 자로 위턱의 음으로 삼초(三焦)의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가(呵)에서 희(?)에 도달하는 것이 1회이며, 보통 사람은 3~5회를 실시한 뒤에 잠들었다가 잠을 깬 뒤에 다시 처음부터 연속해서 시작한다. 여섯 글자는 반드시 첫 번째 가(呵), 두 번째 호(呼), 세 번째 희(?), 네 번째 취(吹), 다섯 번째 허(噓), 여섯 번째 희(?)의 순서로 천천히 생각하고 마음대로 뒤바뀌면 무질서해서 안 된다. 순서는 오행상생(五行相生)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상극(相剋)에 속하므로 신체가 성장하는데 좋지 않고 이러한 실험에 의한 효과는 도가(道家)의 심법(心法)을 맹신해서는 안 된다.

 

간장의 병은 “허(噓)” 자를 사용하고, 심장의 병은 “가(呵)” 자를 사용하며, 비장의 병은 “호(呼)” 자를 사용하고, 폐장의 병은 “희(?)” 자를 사용하며, 신장의 병은 “취(吹)” 자를 사용하고, 삼초(三焦)의 병은 “희(?)” 자를 사용한다. 이렇게 단숨에 전문적으로 하나의 장기를 치료한다. 또한 신체의 감각이 차가울 때 “취(吹)” 자를 사용하고, 많은 관절이 아픈 감각은 사기(邪氣)의 바람이 불 때 “희(?)” 자를 사용하며, 번민이 치밀어 오를 때 “가(呵)” 자를 사용하고, 담이 있을 때 “허(噓)” 자를 사용하며, 피곤에 지쳐 권태를 느낄 때 “희(?)” 자를 사용한다. 이렇게 설명한 여섯 가지 기운은 하나의 장기를 치료하는 것과 같다. 만일 봄철에는 “허(噓)” 자를 사용해 간의 병을 치료하고, 여름철에는 “가(呵)” 자를 사용해 심장의 병을 치료하며, 가을철에는 “희(?)” 자를 사용해 폐의 병을 치료하고, 겨울철에는 “취(吹)” 자를 사용해 신장의 병을 치료하면 더욱 좋다. “호(呼)” 자를 사용해 비장의 병을 치료하고, “희(?)” 자를 사용해 삼초(三焦)의 병을 치료하는 것은 모두 사계절에 적당하다.

 

3. 십이식치병법(十二息治病法)

사람의 호흡은 체내의 탁기(濁氣)를 내쉬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며,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시며 내외를 교환하는 것이 일식(一息)이라고 말한다. 원래 “식(息)”은 호흡을 가리키며, “십이식(十二息)”을 말한다. 12종류의 호흡을 가리켜 “십이식치병법(十二息治病法)”이라고 말하며, 12종류의 호흡을 사용하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십이식치병법(十二息治病法)”은 호흡할 때 “관상(觀想)”에 숨결을 더한다. “관상(觀想)”을 사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것은《대장경(大藏經)》에서 매우 많이 설명하고 있으며, 나는 이곳에 설명 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마음과 상황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대부분 “마음을 따라서 상황이 변한다.”고 했고, 수양하는 성인과는 같지 않다. 마음의 잡념을 제거하고 마음과 힘이 한결같아야하며 소위 “상황에 따라서 마음이 변한다.”고 했다. 사람은 외부의 환경을 변화시켜야 신통력과 기적이 발생한다. 우리가 태극권을 연습할 때 잠시 고요하게 서면 어떻게 등장하는가? 어떻게 해야 가볍고 자연스러운가? 이럴 때 “관상(觀想)”에 호흡을 더하며, “관상(觀想)”과 심신(心身)을 단련한다. 내가 원하는 자세와 호흡을 배합하면 동작과 정신을 합일 할 수 없다.

 

신체와 신체, 마음과 마음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12종류의 숨결과 그 장소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간결하게 순서대로 서술한다. ① “상식치침중(上息治?重)”, ② “하식치허현(下息治??)”, ③ “만식치고척(?息治枯瘠)”, ④ “초식치종만(焦息治??)”, ⑤ “증장식치영손(增?息治??)”, ⑥ “멸괴배치음막(?壞息治?膜)”, ⑦ “난식치냉병(暖息治冷病)”, ⑧ “냉식치열병(冷息治?病)”, ⑨ “충식야증결종독(?息冶症??毒)”, ⑩ “지식치도동불안(持息治掉?不安)”, ⑪ “화식치신체기능불조(和息治身?機能不?)”, ⑫ “보식자보신체기능애퇴화허로(?息滋?身?機能哀退和??)”.

 

상술한 12종류의 숨결은 모두 “관상(觀想)”으로 마음속에 있어야한다. 의식은 상상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마음을 강력하게 사용하면 신체의 중병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질병을 치료하는 관점으로 반드시 오랫동안 연습해야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만약 신체가 냉병인 환자는 마음속으로 따뜻하게 호흡을 하고 신체의 냉기(冷氣)를 불처럼 이글이글 따뜻하게 호흡을 한다. 신체가 열병인 환자는 마음속으로 차가운 호흡을 하고 신체의 열기(熱氣)를 얼음으로 차갑게 식히도록 호흡을 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두 반드시 정좌(靜坐)에서 호흡을 할 때 마음속으로 생각한다. “입으로 불면 한기를 제거할 수 있다.” “숨을 내쉬면 열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일반사람이 이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잠시 멈추고 충만함을 본다. “냉병환자는 다른 것을 생각하는데 신체에 열기가 생겨나면 결과적으로 냉병을 다스리는데 좋다.”고 했다. 호흡과 정신을 집중하는 능력은 정말로 추측할 방법이 없다.

 

4. 태극행공가(太極行功家)

태극권은 “내공권(內功拳)”, “도공권(道功拳)”이라고 부르며, 소위 태극권은 천천히 균일하고, 부드럽고 느슨하며, 고요하고 안정적이며, 정돈된 원을 그리며, 기(氣)를 기르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동작과 호흡을 배합하고 심리학과 생리학을 융합해 음양(陰陽)을 이해하는 천지(天地) 사이의 자리이다. 이로 인해서 태극권을 연습하는 것을 우리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태극행공가(太極行功歌)》에서 말하길 “양쪽으로 기(氣)가 아직 나누어지지 않았을 때 혼연일체가 되어 하나의 극도 없다. 음양(陰陽)의 위치가 안정되면 비로소 태극(太極)이 발생한다. 신체는 텅 비우는 영험한 기술과 호흡을 주관해 실시하는데 가(呵), 허(噓), 호(呼), 희(?), 취(吹)에 희(?)를 더해 여섯 개의 수를 완성한다. 여섯 글자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경락(經絡)을 다스리는 비결은 두 개가 아니라 간(肝)을 치료할 때에는 허(噓)를 사용하고, 허(噓)를 사용할 때 눈을 크게 뜬다. 폐를 치료할 때에는 희(?)를 사용하고, 희(?)를 사용할 때 양손을 떠받친다. 심장을 치료할 때에는 가(呵)를 사용하고, 정수리 위에서 깍지를 낀다. 신장은 취(吹)를 사용하고, 무릎 뼈를 껴안는다. 비장의 질병은 수차례 호(呼)를 사용하고, 호(呼)를 사용할 때 입술을 깨문다. 똑바로 드러누워 항상 희(?)를 사용하고, 삼초(三焦)의 열로 인한 답답함을 물리친다. 이렇게 내공(內功)을 주관하면 음양(陰陽)을 조절하는 태식(胎息)이다.

 

최고는 바른 마음으로 성의 있게 연습하고 자신이 주인이 되어야한다. 이렇게 되면 장생할 수 있고 가슴에 약이 있어 죽지 않는다.”고 했다. 이렇게 태극(太極)을 연습하려면 당연히 정좌(靜坐)를 해야 한다. 정좌(靜坐)는 고요한 가운데 움직임을 추구하고, 태극권은 움직이는 가운데 고요함을 추구하며, 원래 정좌(靜坐)를 오랫동안 연습한 사람은 태극권을 연습하지 않는 자가 없고, 태극권을 오랫동안 연습한 사람은 정좌(靜坐)를 연습하지 않는 자가 없다. 고요한 가운데 움직임을 가지고 있고, 움직이는 가운데 고요함을 가지고 있으며, 동정(動靜)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최선이다. 이렇게 태극행공가(太極行功歌)를 조용하게 연습하는 것은 전문적으로 태극권을 연습하는데 꼭 필요한 요구 조건이다. 음양(陰陽)의 호흡을 조절하면 열기는 물러나고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의가(醫家)의 길일 것이다. 스승은 자신의 체험을 말하길 “태극권을 알고 신선을 알려면 반드시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알아야한다.”고 했다.

 

5. 결론

대가(大家)는 모두 도(道)를 알고 호흡은 콧구멍으로 출입하는 이치는 다음과 같다.

1. 콧구멍 속의 털은 공기 속에 뒤섞여 흡입할 때 들어가는 먼지와 세균을 가로막는다.

2. 콧구멍 속에는 점액이 있으며 이물질이 점액 막을 자극하면 재채기를 해서 제거한다.

3. 콧구멍 호흡은 천천히 가늘고 길게 해야 한다. 삼자(三者)는 또한 천천히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