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極拳의 思維方式
馬 虹
-
1998년 10월 하북(河北)성 한단(邯鄲)에서 개최된 국제태극권연맹의 학술연구 토론회에서 회의 진행자 곽금록(霍金錄)선생이 갑자기 주제 하나를 제안한 후, 나를 지명하여 발언케 했다.
“중국 태극권의 변화와 발전이 오늘날에까지 이르렀는데, 그에 따른 유파도 굉장히 많으며 각자가 자신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 유파들은 모두 자신들을 태극권이라 부른다.
그렇다면 그들 간에는 공통성이 있는가?”라는 주제였다.
그 당시 나는 그 자리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관점을 말했다.
나는 모두 ‘태극권’이라고 부르는 것에는 이치에 맞게 반드시 어떠한 공통적인 내함을 가지고 있다고 여긴다.
이것은 바로 각 유파들마다 또 반드시 한 가지의 공통된 사유방식을 따른다는 것인데, 그것은 바로 태극권의 철학인
태극음양학설(太極陰陽學說)이다.
철학은 모든 것을 총괄하기 때문이다.
모두들 공인하는 청(淸)대의 태극권 이론가 왕종악(王宗岳)은 일찍이 “변화는 무궁하나 이치는 오직 하나로 통한다.”,
“음양을 모름지기 알아야한다 …… 음은 양을 떠날 수 없고, 양은 음을 떠날 수 없으며, 음양은 서로 돕고, 반드시 기운을 아울러야 한다.”라고 말하여 태극음양학설이 태극권의 첫 번째 관문임을 말하였다.
천신(陳鑫)도 사람들에게 경계하길 “철학이라는 것은 마음이 이치로써 존숭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권법을 배우는 것은 이치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오만 방자함에 흘러들지 말고, 한쪽으로 편중되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각 유파들의 태극권법 무술동작은 비록 변화가 많으나 그 원리(철학)는 반드시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무술은 몸을 보호하는 호신술, 몸을 튼튼하게 하는 건신술(健身術)이기도 하며 또한 일종의 문화이다.
태극권은 문화품위가 비교적 높은 권법의 일종인 것이다. 바로 중국의 전통 철학 중 음양사유를 그 근거로 하여 그 고품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사유(思維)는 모든 만물이성에 대하여 인식하는 과정이다.
태극권에 대한 이성적 인식은 대부분이 중국 전통철학인 역리(易理)로부터 자신의 운동법률을 분석 연구한 것이다.
사실 중국문화의 각 부문은 대부분이 이 “역혼체계(易魂体系)”를 떠날 수 없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역리(易理)를 동양 사유의 어머니라고 여겼다.
이와 같이 모든 정통적이며 우수한 태극권은 조금이라도 정확한 이론적 사유가 없을 수 없다.
이렇게 된 바에는 우리는 새로운 종류의 태극권을 모두를 “태극권”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 태극권의 이치는 전통적 태극 음양학설로 태극권의 근거를 삼지 않을 수 없다.
중국전통의 태극음양학설은 일종의 음과 양 쌍방향의 사유방식이다.
태극음양학설은 모든 만물이 모두 일종의 음양의 상대적인 쌍을 이룬 통일체라고 여긴다.
음양변화중의 만물은 상반되는 것도 있고 서로 같은 점도 있으며 공생공존(共生共存)한다.
두 종류의 운동에너지는 서로 대립하며 또한 만물의 발전을 촉진한다.
역학(易學)은 바로 이런 사유방식으로서 인간들이 인식하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에 있어서의 여러 종류의 복잡한 관계를 처리한다.
그리하여 인(氤)은 음양변화, 시간과 공간변화의 규칙을 파악하며, 길함을 추구하고 흉함을 피하는데 전력을 다한다.
그 중 그것은 또한 음양의 조화, 음양의 극성으로써 음양모순 운동의 가장 아름다운 상태(혹은 안정된 상태)를 만든다.
이것은 사물이 안정한 발전을 하기 위한 기초적 보증이며 또한 주역(周易)철학의 최고준칙이다.
똑똑한 중국인이란 바로 이 최고의 원칙을 사유방식으로 하는 사람들이다.
이론을 근거로 몸을 튼튼하게 하고 몸을 보호하며 몸을 만족시켜 태극권과 하나로 화합한다.
그러므로 태극권의 각 유파들의 공통원리는
그것의 건신(健身)이론, 격투이론, 양생이론 및 음양사유와 그 어떠한 것도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진조규(陳照奎)선생이 전수한 대가(大架), 노가(老架), 저가(低架)은 태극권의 이론이고 권법이며 이런 음양사유방식을 충만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국에 와서 태극권을 배우는 프랑스의 한 친구가
“내가 중국에 와서 태극권을 배우는 이유는 동양의 인생 철학를 배우기 위해서이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二
음양사유는 모든 것을 조절하는 것이다.
모든 일은 “넘치는 것이 없어야 한다.”는 것처럼 해야 한다.
인체 기능의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쓰는 것은 바로 태극권이 뛰어난 효능이 있는 양생과 호신의 오묘함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음양이라는 것은 사물의 발생과 변화에 내재하고 있는 양대 힘이다.
“만물은 정과 반으로 서로 생(生)한다.”
무릇 사물이라는 것은 모두 두 개의 측면이 있는데, 이 둘은 서로 상대적인 것으로 상반이 되는 것도 있고 서로 같은 점도 있다.
상대적인 것이 없다면 일체의 모든 개념은 소멸할 뿐이다.
우주의 만물. 그 생성, 운동, 변화, 발전, 소멸… 이런 것은 신의 의지가 아니며 또한 외부의 힘에 의해 추진되는 것도 아니다.
이것은 자신에게 있는 두 종류의 “서로 부딪치고 서로 밀리는” 힘에 의한 것이며 자신 스스로의 운동과정 중에 생성되는 것이다.
외부는 단지 일종의 조건에 불과 할 뿐이다.
음양 이 두 종류의 에너지는 시시각각 변화한다.
그러나 음양 변화의 안정된 상태는 바로 사물의 발전과정 중 가장 아름다운 상태인 것이다.
음양이 서로 평행하고, 극성하며, 서로 돕고, 조화로우며 화합하는 등등의 상태이다.
음에 치우치거나 양에 치우친 것은 모두 이상적인 상태가 아닌 것이다.
처세의 도리이든 아니면 양생의 도리이든지 모두 음양에 적응하는데 능숙하다.
모든 상대적 개념에 대해 한 쪽을 견지하지 않는 통일적으로 서로 돕는 개념에 의거한 것이다.
조절은 사물이 정상적으로 발전하게 하는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음양사유, 전체조절”를 말하는 것으로 도의 묘함을 삼는다.
태극권은 모든 것에서 음과 양을 말한다.
도처에서 조절을 얘기하며, 생명발전과정 중에 있는 인체가 마지막에는 안정한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힘쓴다.
그렇다면 무엇이 생명과정중의 안정한 상태인가?
인체의 생명과정이라는 것은 바로 음과 양이 흥망성쇠하는 발전과정이다.
일반 사람들의 전반생은 양(陽)이 생(生)하게 되는 단계(합성이 분해보다 크다)이고,
후반생은 음(陰)이 길게 되는 단계(분해가 합성보다 크다)이다.
음극은 반드시 양이고, 양극에서는 음이 생하며, 번성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쇠한다.
생명의 연장은 단지 “양극”이 조금 늦게 오도록 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점차 변하는 시간이 조금 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음극기가 도착하는 것이 미뤄지는 것이며 생명의 “갑작스러운 변화”가 조금 늦게 오는 것이다.
그 중의 오묘함은 무엇인가가 음과 양의 조화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만드는 것에 있으며 음과 양이 조화롭게 되도록 힘쓰며, 인생의 음양이 상대적 평행을 이루도록 하며, 상대적인 안정기가 될 수 있는 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생명이란 것은 아마도 연소하는 양초와 같은 것 같다.
양초가 활활 타오르면 그만큼 불이 꺼지는 것도 빠르다. 범과 표범의 생활리듬은 정말 빨라서 수명이 짧다.
거북이의 생활리듬은 느린데, 이것은 결국 안정한 상태에 있어서 수명이 길다.
오랜 시간동안 몹시 심한 빠른 운동을 한 적이 있는 운동선수, 격투기운동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수명이 비교적 짧다
(특히 산소신진대사에 있어 부담이 크기 때문에).
당연히 인간생명의 가치는 결코 시간상으로 길고 짧은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어떠한 동물과도 같지 않으며, 인생의 가치는 사회에 대한 공헌의 정도에 있다.
그래서 공자(孔子)는 “어진 자는 장수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러나 사회에 대한 공헌에 의해 인생의 종지가 된다는 전제 하에서는 사람들 모두 생명의 연장을 희망하여 더 많은 사회에 대한 공헌을 이룩하기 위해 더 많은 좋은 일들을 하게 된다면 이것은 온갖 계략을 다하여 “양극기(陽極期)”가 오는 것을 미루는 것과 같으며 인생의 양초가 조금 더 늦게 타게 하여 그것이 활활 타오르는 시간을 조금 더 연장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가치 있는 생명을 위해서 건강한 시기를 연장하는 것이다.
현대과학에 의하면 인체 생명의 안정한 상태의 정의는 “상국공간, 조율진탕(常國空間, 調律振蕩)”이다.
‘상국(常國)’은 정상범위라는 것이고 “조율(調律)”은 규칙이 있는 파동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간의 체온은 36.5-37.5℃를 유지하는데, 일반적으로 오후에 높고 새벽엔 낮게 된다.
즉 상국공간이 규칙적으로 진동하는 것이다.
만약에 사람의 체온이 낮에 온도가 낮고 밤에 온도가 높다거나 혹은 어떤 사람의 체온이 외부의 온도가 낮을 때 체온이 더 떨어지고 외부의 온도가 높을 때 체온이 더 높아져 낮에는 39℃이상이 되고 밤에는 35℃이하로 떨어진다면 이것은 비정상적인 것이다.
즉, 파동이 있어야 하며 또한 인체운동에너지의 정상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 그리하여 상대적인 안정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운동에너지가 부담을 넘어서는 안 되며 유산소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힘이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에너지가 클 수도 작을 수도 있으며 빠르고 느릴 수도 있고 강함도 유약함도 있다.
리듬이 있고 규칙 있는 파동상태가 있는데, 정지한 것이 아니며 또한 부담을 넘어서는 것도 아니다.
또한 운동량이 지극히 낮은 것도 아니고 극한을 넘어선 것도 아니다.
또한 초극한의 질병을 피해야 하며 낮은 동력의 질병을 방지해야만 비로소 음과 양이 서로 돕는 상태, 음과 양이 조화로운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체생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三
태극권은 역리(易理)의 태극음양학설에 근거하여 인체의 기능을 조정하고 적에 대항하는 권법의 과정 중에서 음과 양의 변화는 매우 복잡하며 내포하는 바도 매우 풍부한데, 귀납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다음 몇 가지의 사유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一) 陰陽對應(對稱, 相應) 음과 양은 서로 대응한다.
태극이란 음양이 서로 껴안고 있는 모양이다.
태극이 포함하는 음양 두 종류의 운동에너지는 서로 대립하기도 하고 서로 제약하기도 하며 서로 의존하기도 한다. 이것은 바로 그것의 음양대응성 즉, 음양대칭 또는 대응인 것인데, 사물의 상대평형과 동작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사물의 안정한 상태를 지킨다.
태극권운동은 도처에서 음양대칭, 음양호응을 강조하고 있는데, 오른 쪽이 있으면 왼쪽도 있고 왼쪽과 만나는 것은 반드시 오른쪽이고 위쪽이 있으면 아래쪽도 있는데 위쪽과 만나는 것은 반드시 아래쪽이라는 것이다.
“앞으로 가는 중에는 반드시 뒤에서 지탱해주는 것이 있다” 앞에서 발산하며 뒤에서는 수렴한다.
내부와 외부, 위와 아래, 가벼움과 무거움, 빠름과 느림, 따르는 것과 거스르는 것, 열고 닫는 것, 허한 것과 실한 것 모두는 반드시 서로 대칭이며 또한 서로 제약을 하고 있고 서로 의존한다.
음과 양 두 가지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안 되고 두 가지가 서로 상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음과 양이 대응하는 중에 이루어지는 몸놀림이야말로 정확한 것이다.
몸놀림의 올바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작의 평형을 이루며 또한 반드시 음양대응을 이루어야 하고 팔면을 지탱하고 팔면을 견제하며 팔면과 호응해야한다.
소위 세 가지 유지해야 하는 규칙(세로, 가로, 수직)은 사실상 음양상응의 총체관인 것이다.
총체관은 계통론의 핵심이다.
전체로부터 생명진행과정의 각 방면이 서로 평형을 이루는 것을 파악하는 것은 권법을 수련할 때라면 어디에서든지 언제든지 동작중의 평형을 이루려고 하며 갖가지 대립성의 동작이 서로 호응하고 서로 조화롭게 대칭한다.
이것은 인체기능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그게 장점이 있다.
적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스스로 자신이 일종의 안정된 총체적 의욕을 갖추려고 한다.
이런 종류의 음양대응성은 인격수련을 하는데 있어서 요구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음이 강하고 양이 온유함을 똑같이 중시여기는 것이다.
지키고 물러나는 것 개척하는 것을 다같이 중히 여기고 내성과 외경을 다같이 중요시하며 용기를 내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과 여지를 남겨 두는 것을 같이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태극권을 익히는 과정 중에서 이런 정신경지의 수련을 실현하는 것은 오직 상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돕고 가벼움과 무거움이 같이 있으며 수용할 수 있고 놓아줄 수 있는데서 비롯된다.
태극권의 풍격과 태도는 엄숙하고 품위가 있으며 편안하고 쾌적해야하며 근엄하면서도 소탈해야 한다.
인생, 인간과 자연, 인간과 사회를 모두 하나의 음양이 함께 있는 태극으로 간주한다.
단지 당신은 자연계, 인간계와 함께 조화롭게 공존하며 자유왕국과 자유자재한 경지에 들어설 것이다.
(二) 陰陽互包 음과 양이 서로 감싸준다.
음과 양이 서로 감싸준다는 것은 또한 음양이 함께 품어주고 음양이 서로 기거한다는 것이다.
즉 음 가운데 양이 있고 양 가운데 음이 있다. 이것은 태극도 가운데의 검은 물고기가 하얀 눈을 가지고 있고, 흰 물고기는 단지 검은 눈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당신 안에는 내가 있고 내 안에는 당신이 있다. 양이 음에 삽입되어지면 음은 양을 머금는 것이다.
이 둘은 서로 의지하고 있으며 서로 잉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남자는 남자의 성기가 있고 여성에게 여성의 성기가 있는 것과 같다.
태극권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권법을 행할 때 여는 중에 닫힘이 있는 것과 닫히는 중에 여는 것이 있는 것과 여는 것과 닫는 것이 함께 하는 것을 요구한다.
허(虛)중에는 실(實)이 있고 실(實)가운데 허(虛)가 있다.
강함 가운데 유약함이 있고 유약함 가운데 강함이 있다.
격투에 활용하는데 있어는 융화되는 가운데 싸우는 것이 있고 싸우는 가운데 융화됨이 있다.
융화와 싸움은 합일한다.
예를 들면 “백학량시(白鶴亮翅)”는 두 어깨를 넓히고 두 손을 호랑이 입 모양으로 서로 합치는 것이다.
“초수(初收)”는 양손이 합치되고 양 팔꿈치를 벌린다.
단지 열리는 것만 있고 닫혀 지는 것이 없으면 서로 흩어지게 되고 지고, 오직 닫혀 지는 것만 있고 열리는 것이 없으면 맥이 풀리게 된다. “나찰의(懶拃衣)”, “소금타(小擒打)” 등은 융화와 싸움의 결합과 합일의 기교를 모두 실현하였다.
인간이 일을 처리할 때 이와 같이 음양이 서로 이 방면의 수양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생은 짧다.
그러나 당신의 생명이 풍부한 의미를 가지도록 하려면 촉박한 그 가운데에서 오랜 시간의 공헌이 있어야 한다.
좋은 처지에 있을 때에도 위험할 때의 일을 미리 생각하고 경계해야하며 환난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그리고 역경에 있을 때에도 더 나아가기 위해서 물러나는 것이 필요하고 뻗기 위해서 굽힘이 필요하다.
위험한 상태를 평온하게 하기 위해 힘써야 하며 물러나 계획을 세우며 재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실패를 성공으로 바꿀 수 있도록 힘쓰며 고난 중에 휘황한 불빛을 창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三) 陰陽互根 음과 양은 서로의 근원이다(서로 돕고 보충한다)
음과 양은 서로 의존하며 서로 의탁하게 된다.
둘 중 어느 하나도 그 다른 방면을 이탈할 수 없으며 단독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색문․음양응상대론(索問․陰陽應象大論)≫에 기재되길, 동(動)의 표현에 대해 “양은 음을 조절한다.”라고 했다.
내재된 음은 기능적인 물질기초를 생산시킨다.
그래서 “음은 양을 지킨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는 서로 그것의 근원이 된다.
따라서 ≪유경도익(類經圖翼)≫에서 “음은 양에 뿌리가 있고 양은 음에 뿌리가 있다.
음과 양은 서로 그 근원이며 더 나아가 만물의 형태가 생성된다.”라고 하였다.
태극권은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이 서로 그 근원이 된다.
가벼움과 무거움이 서로 그 근원이 되며 피하고 맞부딪치는 것도 서로 그 근원이 되고, 허와 실이 서로 그 근원이 되며 유약함과 강건함이 서로 그 근원이 된다.
예를 들면 태극권은 “발걸음을 고양이처럼”하는 것을 중시하는데 이는 걸음을 할 때 바닥에 닿은 발은 다른 한 발까지 받쳐 지탱하므로 훨씬 더 힘이 들게 되는데 이것은 실이 허의 근원이 됨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만약에 허가 없다면 실도 없게 되고 가벼움이 없다면 마찬가지로 무거움도 없다.
따라서 허는 실의 근원이며 가벼움은 무거움의 근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느슨함에 대해 말하면 만약에 전신의 각 부분에 관절과 근육 및 장기의 느슨함이 없다면 역시 한 지점에서 방출하는 “휴고납후(携枯拉朽)”, “신뢰불급엄이(迅雷不及掩耳)”등의 탄력적이며 나선적인 양강(陽剛)의 힘도 집중할 수 없다.
이것으로 볼 때 부드러움 또한 양강의 근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그루의 나무를 말할 때 우리는 통상적으로 땅 아래에 있는 것을 “뿌리”라고 부르며 땅 위에 있는 것을 나무 줄기, 가지, 잎이라고 부른다.
사실, 땅 아래의 뿌리로 말하자면 그것에게 있어서 땅 위의 것을 그의 “뿌리”라고 부르는 것이 불가능하기만 한 것인가?
왜냐하면 상하는 서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관계에 있다.
인체의 각각의 장기들 사이에도 서로 그 근원이 될 수 있다.
그 밖의 인체의 삼절 또한 서로 작용을 하므로 손이든 팔꿈치, 어깨든지, 혹은 상박, 무릎, 다리든지 모두 서로 그 근원이 된다.
≪손자병법(孫子兵法)≫중에 ”머리를 공격해도 꼬리와 서로 상응하며, 꼬리를 공격해도 머리와 서로 상응하고 공격중의 머리와 꼬리는 서로 상응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태극권의 격투법 가운데 음과 양, 서로가 그 근원이 되는 도리를 설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태극권을 함은 반드시 허와 실이 서로의 근원이 되어야 하며 가벼움과 무거움이 겸비되어 있고 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도우며 피하고 맞부딪치는 것이 서로 품고 있으며 인체의 삼절이 서로의 근원이고 음과 양이 서로 쓸모가 있는 권법의 도리임을 명백하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사람됨 또한 대자연과 사회와 인간관계와 같이 서로가 그 뿌리를 이루며 서로 돕는 것이다.
(四) 陰陽全息(整體性) 음과 양이 함께 호흡하다.
즉 음과 양 두 종류의 에너지 총체성을 말한다.
권법이론 중 “주신일가(周身一家)”, “일동무유부동(一動無有不動)”, “절절관관(節節貫串)”, “기지우족, 행지우퇴, 주재우요, 형지우수(起之于足, 行之于腿, 主宰于腰, 形之于手)”등등은 모두 이 권법운용의 총체성을 실현시킨 것이다.
태극권은 이완(느슨함)을 강조하는데, 그 중 하나는 온몸의 힘에 더 나은 집중을 하기 위하여 발력점 상에 있는 것이다.
좀더 나아가 말하자면, 태극권의 힘 운용의 정체성은 인체의 힘과 대지의 힘이 합쳐져 하나가 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땅의 힘을 빌린 힘”이라고 한다.
인체는 대지에 작용을 하며 대지의 반작용력은 또한 반대로 인체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당신의 힘을 더 무게가 있고 강인하며 강대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인체역학원리에 또한 부합하는 것이다.
(五) 陰陽變化有序 음과 양의 변화에는 순서가 있다.
음양의 변화의 규칙 중 하나는 역학(易學)이론 중의 “왕래하지 않고 반복하지 않다”는 것인데 즉, 음양변화는 질서가 있다는 것이다.
음이 되고자 하면 반드시 양이 되어야 하고 양이 되고자 하면 반드시 음이 되어야 한다 음양은 왕복으로 교대한다.
진씨 태극권의 중요한 요점 중 하나인 “경주절첩(勁走折疊)”이다. 진가도(陳家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태극권은 “법을 없애고 쓸데없는 공에 힘쓰지 않는다.”
좌가 되고자 하면 먼저 우가 되어야 하고 우가 되고자 하면 먼저 좌가 되어야 하며 위가 되고자 하면 먼저 아래가 되어야 하고
아래가 되고자 하면 먼저 위가 되어야 한다.
열고자 하면 먼저 닫아야 하고 닫고자 하면 먼저 열어야 한다.
느슨해지고자 하면 먼저 조여야 하고 조이고자 하면 먼저 느슨해야 한다.
잡으려 하면 풀어주어야 하고, 원하면 먼저 주어야 하고 주고자 하면 먼저 원해야 한다는 것
등등의 것들은 반(反)과 정(正)이 서로 이루는 힘을 운용하는 방법이라고 하겠다.
이것은 바로 노자(老子)가 말한 것인데, “반(反)이라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다” ≪도덕경≫
이것은 반대쪽에서 입수되어지는 세상법칙이다. 태극권 중에는 이러한 철학 이치가 풍부하다.
예를 들면 “단편(短鞭)”은 “제이금강도확(第二金剛搗確)” 동작의 하나를 받아야 한다.
한 동작이 네 개의 절영경(折盈勁)을 포괄한다. 또 “전초후초(前招後招)”는 좌우를 끊는 것으로 일좌(一左), 일우(一右), 일전(一前), 일파삼절(一波三絶)을 한다.
“쌍진각(雙震脚)”은 상하절첩(上下折疊)으로 일하(一下)(按), 일상(一上)(托)으로 또 일학박격(一下拍擊)하는 것이며, 또 일파삼절(一波三折)이다.
“지당극(指檔極)”은 오른쪽에서 끌어 왼쪽으로 발휘하는 것이다.
오른쪽 아래에서 끌어당기면 왼쪽 위에서 방출되고 왼쪽 위를 열면 오른쪽 아래가 닫히는 것으로 일파수절(一波數折)이다.
태극권은 끊임없이 빈번히 왕래하는 것을 반대하며 뽑아 당기는 형상을 반대한다.
반드시 이런 유인축발(柔韌蓄發 부드러움으로 축발하는 것)과 절첩회환(折疊回環), 성동격서(聲東擊西)와 같은 기교 등을 이용하며 이런 재능이 있기만 한다면 태극권의 힘을 운용하는 것, 음양이 순서가 있는 것, 음양이 서로 접는 기술 등에 있어서 미묘함을 실현시킬 수 있다.
(六) 陰陽變化의 螺旋形式
태극권이라는 것은 특히 진씨 태극권의 독특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바로 뒤엉킨 실의 힘과 나선의 힘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태극권이라는 것은 감는 것을 말 한다”(陳鑫).
이처럼 태극권의 그림가운데에는 “S”자의 선이 있는데 이것은 음양변화의 형식이 입체적인 나선형식임을 설명하는 것이다.
엥겔스는 변증법을 “모순은 발전을 가져오는데 발전의 나선형식이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일체의 모든 사물 발전의 형식이 나선형식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태극권 또한 예외가 아니라서 태극권을 할 때 온몸 곳곳에 모두 순응하지 않고 거스르는 나선장식 중에 힘이 운용되고 융화되는 것이다.
그것이 큰 동작이것 작은 동작이건 간에 모두 나선중의 완성이 된다. 즉 진조규(陳照奎)선생은 “타권(打拳)은 세 개의 원(圓)이며, 추수(推手)는 세 개의 구(球)이다.”라고 말했다.
또 “일체의 모든 동작은 원형이 아니고 궁형이거나 혹은 S선이다.”라고 말했었다.
그러므로 세 개의 원이란 것은 첫째, 몸의 사지에 요구하는 것으로 동작이 순응하지 않고 역행하며 모두 나선중의 동작에 있다.
둘째, 모든 동작이 행해지는 과정에는 모두 비원형인 궁형의 형태로 행해진다.
셋째, 정형자세의 요체는 이른바 붕원(掤圓)을 뚫고 내기(內氣)를 고양시키는 것으로 외형이 포만해 진다.
결국, 신체의 각 부위는 자전을 하며 또한 공전을 하고 자세 역시 ‘양비붕원(兩臂掤圓)’, ‘호구원(虎口圓)’, ‘당원(檔圓)’, ‘용천혈(涌泉穴)’, ‘노관혈원(勞官穴圓)’, ‘기세요원(氣勢要圓)’ 등이 요구되어진다.
권법을 사용할 때, 단전은 마치 전신에 축을 지닌 것처럼, 온 몸이 용과 뱀처럼, 위아래를 볼 땐 다이아몬드처럼 두루 살피고, 좌우를 볼 땐 파도가 흐르듯 마치 태풍이 불 듯 해야 한다.
태극권은 힘이 다하지 않고 첨차 상승하니 마치 나선 모양의 힘에 기대어야 한다.
건신(健身)의 각도에서 본다면 기혈의 조절과 강한 근육과 연약한 피부에 독특한 작용을 한다 하겠다.
(七) 陰陽消生變化의 리듬성
일체의 모든 사물은 생장으로부터 발전에서 소멸에 이르기까지 모두 하나의 완만한 변화와 갑작스런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러한 철학적 이치가 태극권에 운용되어서는 바로 완만한 변화와 리듬성을 추구하는 권법인 것이다.
빠르고 느림은 파도처럼 행하여진다.
태극권을 할 때 빠름을 맛보고자 하면 산소가 부족한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느림을 맛보고자 하면 리듬성의 율격을 잃으면 된다.
이런 리듬성의 운동은 유산소 신진대사 운동을 할 수 있어 오랜 시간 훈련을 해도 피곤하지 않으며 땀이 흐르지만 숨이 차지 않다.
반드시 몸이 건강하게 되는데 도움이 되며 격투능력을 단련시키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태극권은 운동격조가 기본적으로 완만함과 느림을 추구하고, 중후함과 안정감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느림이 있으면 빠름도 있고 뚫는 것이 있으면 발하는 것도 있고 조이는 것이 있으면 느슨한 것도 있는 것이다.
이는 파도가 이는 모습과 같으며 강물이 출렁거리는 것과 같다.
작곡을 하는 데 있어서 리듬과 같으며 율격이 있고 운율이 있는 것과 같다. 태극권을 하는 사람은 마음이 탁 트이고 기분이 좋으며 그것을 보는 사람들은 일종의 예술적인 감흥을 느낄 수 있다.
(八) 陰陽變化의 不測性
주역에 이르길 “음양은 측정이 불가능한 신과 같다.”
또한 “음양의 변화는 신과 같이 측정할 수가 없다”고 하였다.
이것은 일체의 사물의 변화가 종종 예측하기가 어려움을 뜻하는 것이다.
이처럼 태극권에 있어서 특히 손을 내미는 기술은 상대방의 힘의 변화와 태극권을 하는 두 사람의 접촉 중에 서로 변화하기 때문에 모두 예측하기가 어렵다.
사람의 일생, 생활의 변화도 마찬가지로 예측하기가 어렵다. 우리들이 어떻게 예측 불가능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있는 지는 모두 한사람의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어떠한지에 달려있다.
태극권은 바로 인간의 적응능력을 단련하는 것이다.
그것이 자연환경이든, 인간관계이든 사회의 처세에 있어서든지 변화는 예측하기 불가능하고 우리가 변화를 예측하기 힘든 생활 환경 가운데에 있지만 우리는 일종의 민첩함과 타고난 천성으로 인하여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해 “적으로 인한 변화는 신기함을 보여 준다”는 것도 할 수 있고 “장애가 없는 기묘한 경지”에도 이를 수 있다.
태극권은 우리들이 느슨함을 원하고 움직이는 가운데서 고요함을 추구하고 안정감을 원하고
어떠한 일을 만나도 당황해 하지 않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또한 허용을 하고 교화를 하며 굽힘으로써 펼 수 있고
안정함에 따라 변화에 적응하는 것을 가르친다.
평상시에 단련을 하는데, 태극권법을 통해서 단련을 하고 손을 밀고 단식(單式)훈련을 하며 기계(機械)훈련, 공력(功力)훈련, 산수(散手)훈련을 하며 의지를 가지고 훈련을 하면 스스로가 힘과 속도와 영민함과 인내력 등을 갖추도록 할 것이다.
어떤 상황이 변화하는 것을 만나도 잘 생각하고 잘 듣고 잘 느끼고 잘 처리하는 등 변화에 능숙하게 된다.
그러므로 권법을 익히는 중에 민첩함을 배양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단련시키고 적과 대응할 때에도 그 기세에 따르며 그 힘을 빌려올 수 있으며 그 사람의 힘과 그 사람의 몸을 만드는 것에도 능숙하게 된다.
갖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음양을 사유하는 방식은 자신을 결국은 음과 양이 서로 돕는 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또한 상대방으로 하여금 떠남의 경지를 일깨운다. 이것은 바로 당신이 큰 풍도를 갖추도록 요구하며 “큰일에 직면할 지라도 반드시 안정된 기운이 있다.”
고요함 가운데에도 변화가 반드시 있는데 어떠한 일을 만나도 당황하지 않고 재앙이 마음에 와도 놀라지 않으며 침착한 태도로서 서두르지 않고 예측 못한 갖가지의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출처] 태극권의 사유방식|작성자 mochafreddo
'수련 Training > 태극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오돈오(渐悟顿悟)-진가구 태극권학교의 칠판(1) (0) | 2021.04.27 |
---|---|
'송'에 대하여 (ON RELAXATION) (0) | 2021.04.01 |
태극권 추수 특징 (0) | 2021.02.17 |
태극권 특징 (0) | 2021.02.17 |
태극권 기초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