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전체 글 326

아기들의 신경 발달학적 움직임이 운동 재활에서 정말 중요한 이유

아기들의 신경 발달학적 움직임이 운동 재활에서 정말 중요한 이유 아기들의 신경 발달학적 움직임(Neurodevelopment Movement)이 운동 재활에서 정말 중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연구소 통합체형전문가과정(PIT)과기능적재활트레이닝(FST) 과정 강사이자 Bodymover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미국 프로 풋볼 리그 팀 인 Seattle Seahawks의 전문의인 Stanley Herring은 “부상징후나 증상들은 사라져도, 부상으로 인해 손상된 기능의 결핍(Deficit) 상태는 지속되어서 기능적 결핍상태에 맞게 적용된 불규칙한 움직임 패턴들이 자리잡게 된다"라고 언급하였습니다. 한가지 분명한점은 통증이 없는상태에서도 이러한 동작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날경우, 특정 동작이나 움직임오류..

척추엔진(Spinal Engine)-척추의 움직임은 생명이다

척추엔진(Spinal Engine)-척추의 움직임은 생명이다 안녕하세요.척추안정화 연구소 통합체형과정(PIT)과 기능적 움직임 패턴과정(FST) 강사이자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오늘은 국내에도 방한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힘을 불어넣어주었던 닉부이치치에 대하여 팔다리가 없어도 어떻게 움직일수있을까라는 주제로 얘기를 하려고합니다. 니컬러스 제임스 "닉" 부이치치( Nicholas James Vujicic, Nick Vujicic)는 호주의 목사이자 신체장애 뿐 아니라 희망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하는 동기부여 연설가이며 지체장애인들을 위한 기관인 사지없는 인생 (Life Without Limbs)의 대표자로 알려져있습니다. 양쪽 팔 또는 다리가 없는 선천성 기형을 말하는 테트라-아멜리아..

얀다의 근육 불균형에 대한 과학적 근거

서론 움직임 조절 & 만성 근골격 통증 → 감각운동계(고유수용성 감각)의 중요성 → 기능적 접근법 Ⅰ. 근육 불균형에 대한 과학적 근거 1장 - 근육 불균형의 구조 및 기능적 접근 적절한 고유수용성 감각의 중요성 기능적인 문제가 주요한 원인일 확률이 크다 기능적 병변은 직접 관찰이 불가 → 신체 구조와 시스템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가상적으로 시각화 회전근개 근육들의 일차적인 기능은 회전이 아니라 위팔뼈머리를 모으고 위팔어깨관절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기능의 관점 내재적 관점 통합 → → 외재적 관점 1. 생리학적 2. 생체역학적 3. 신경근적 근육은 불기능에 따른 보상적 적응 또는 불기능의 결과로 인해 불균형하게 된다. 약한 엉덩이의 근력은 앞쪽 무릎 통증과 관련있다. → 엉덩이 폄(-52%)..

시냅스(synapse)로 보는 신경해부학(neuroanatomy)

신경해부학(neuroanatomy)을 다루는 데에 있어서 시냅스(synapse)에 대한 내용은 빠질 수 없습니다. 알다시피 시냅스(synapse)는 서로 다른 뉴런(neuron)들이 연접(junction)하게 되는 공간(space)입니다. 이 공간(space) 안에서 이루어지는 특정한 역할은, 우리가 알고 있는 신경(nerve)의 기능(function)을 여실히 반영하게 됩니다. 때문에 신경(nerve)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조물(structure)들과 더불어 시냅스(synapse)에 대한 선행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이번 글에서는 시냅스(synapse)로 보는 신경해부학적인 이야기(neuroanatomical stroy)를 시작합니다. 시냅스(synapse), 뉴런(neuron)의 ..

운동제어(motor control)를 위해 운동학습(motor learning)을 일으키는 뇌의 기능

운동제어(motor control)와 운동학습(motor learning)은 운동학적인 용어(kinematic term)이면서 신경학적인 용어(neurologic term)로, 뇌의 기능(brain function)을 아주 잘 드러내고 있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동제어(motor control)와 운동학습(motor learning) 모두, 뇌의 기능(brain function)으로 인해서 발휘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용어는 운동지도자들 사이에서 운동을 표현하는 다양한 용어 중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아마도 많은 전문가들이 뇌(brain)에 대해서, 그리고 뇌의 기능(brain function)에 대해서 그만큼 잘 알고 있지 않아서입니다. 뇌(brain)는 구..

호문쿨루스(homunculus)로 보는 신경계(nervous system)와 운동조절

호문쿨루스(homunculus)를 알고 계신가요. 호문쿨루스(homunculus)는 신경(nerve)이 밀집된 신체 부위를 비율적으로 나타낸 지도(map)입니다. 따라서 이 지도(map)를 알고 있다면, 우리 몸의 신경(nerve) 분포도가 어떠한 양질로 형성되어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신경계(nervous system)와 운동조절(motor control)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금 전에 언급한 호문쿨루스(homunculus)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가볍게는 그저 뇌의 구조와 기능(brain structure & function)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움직임(movement)을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하나의 기전(mechanism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

소마지성을 깨워라

♤ 소마틱스 + soma: 1자가 안(신체내부)에서 부터 경험한(느끼는) 몸. + body: 3자가 밖에서 부터 바라본 몸. 대상(바깥에서 관찰한 사물). + somatic: 안에서 밖으로 내가 나 자신을 느끼고 이해해가는 과정. 소마운동을 하는 동안 다른 무엇보다도, 몸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내적인 느낌에 집중해야 한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근육은 습관적이며 불수의적으로 수축하게 된다. 스트레스가 몸에 쌓이면 근육을 이완할 수 있는 능력을 잃게 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뇌가 근육이 있다는 감각 자체를 잃기 때문(뇌가 고착)에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법까지 잃게 된다. 뇌와 근육사이의 피드백회로가 막히면 근육과 몸의 정교한 움직임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능력 자체가 상실된다. 뇌가 신호를 주지 않으면 ..

소마 운동

소마코칭 스튜디오 KS바디워크소마틱스연구소 소장 최광석님의 글 ☞ 옮김 1) 근육의 길이변화 정보차원(근방추 차원) 2) 건의 장력변화 정보차원(골지건 기관 차원)- 건에 있으면서 인체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장력을 감지. 3) 전정미로 반사계 정보차원- 움직임의 방향, 속도, 궤적과 함께 몸 전체의 균형상태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뇌에 전달. 4) 내장압박수용기 정보차원- 장부가 차지하고 있는 신체 내부의 입체적인 느낌 감지하여 입체적인 형태의 정보로 뇌에 전달. -골격근의 감각인지력이란 해당 근육의 길이변화 정보와 장력정보를 알아채는 능력이다. -운동통제력이란 실제 그 근육을 수축할 수 있는지, 있다면 어느정도인지와 관련있다. 팬디큘레이션 기법의 3가지 형태 : 수축-이완 사이클(contract-rela..

통증의 진짜 원인은 뇌에 있다! 긴장, 뇌척수액, 뇌간, 자율신경실조증치료, 부교감신경활성화, 흔들림/눈꺼풀 떨림, 안면근 경련, 틱 증상, 진전(tremor)

나이든 쥐에 젊은 쥐 뇌척수액 넣었더니 기억력이 돌아왔다! ​ 젊은 쥐의 뇌척수액을 늙은 쥐에 이식했더니 기억력이 개선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젊은 쥐의 뇌척수액 속 단백질이 기억과 관련된 뇌기능을 유지하는 신경세포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토니 와이스 코레이 미국 스탠퍼드의대 교수 연구팀은 젊은 쥐의 뇌척수액을 나이 든 쥐에 주입해 기억력을 개선시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1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노화가 진행되면 기억력이 감소하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젊은 뇌의 뇌척수액이 기억력 감퇴를 비롯한 치매 치료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뇌와 척수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뇌척수액에는 정상적인 뇌 발달에 필요한 이온과 영양분이 포..

Neurodynamics 뉴로다이나믹스

Michael shacklock의 저서 Clinical Neurodynamics ​ Michael shacklock은 뉴질랜드 출신 물리치료사. 신경계의 기능 장애가 근골격계의 이상에서 기인된다고 주장. ​ 그렇기 때문에 신경계의 기능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nerve stretch에 초점이 맞춰진 nerve mobilization이 오히려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여 안전한 방법을 연구한 끝에 Clinical Neurodynamics를 저술. ​ 저자는 크리니컬 뉴로다이나믹스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근골격계의 기능에 통합되는 신경계의 역학(mechanics)과 생리학(physiology)을 임상적으로 적용하는 것’ 이라고 정의. ​ 임상 신경역동학에서 말하는 신경계의 역학(mechanic)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