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분류 전체보기 326

태극권 요결

양징보(楊澄甫) 제기정신(提起精神), 허령정경(虛靈頂勁), 함흉발배(含胸拔背), 송견추주(松肩墜?), 기침단전(氣?丹田), 수여견평(手與肩平), 과여슬평(?與膝平), 고도상제(尻道上提), 미려중정(尾閭中正), 내외상합(內外相合). 정신이 일어나고 목을 텅 비워 이완하면 기(氣)는 정수리를 통과하게 되고, 가슴을 모으고 등을 늘려주며, 어깨는 느슨하게 이완하고 팔꿈치는 늘어뜨리며, 기(氣)를 단전에 가라앉히며, 손은 어깨와 수평이 되고, 고관절은 무릎과 수평이 되며, 항문을 위로 끌어올리고 꼬리뼈는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으며 안과 밖에서 서로 어울려야한다. 양반후(楊班侯)의 전체대용결(全?大用訣) 태극권법묘무궁(太極拳法妙无窮), 붕리제안작미생(?履?按雀尾生). 사주단편흉당점(斜走單鞭胸??), 회신제수파착봉(..

태극권 호흡

호흡(呼吸) 1. 호흡사상(呼吸四相) “망(望), 문(?), 문(?), 절(切)”은 한의학에서 진찰하는 4종류의 중요한 방법이며, 사실 한 개만 요구해도 수양(修養)을 준비하는 사람은 호흡 가운데 건강상태 및 수명의 길고 짧음을 헤아릴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호흡을 4종류의 현상으로 나누어 관찰하였으며, 그런 다음에 그 결점을 치료하였다. 1) 풍상(?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마음속의 감각은 소리가 들린다. 2) 천상(喘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비록 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그러나 호흡이 가쁘며 원활하지 못하다. 3) 기상(氣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때 비록 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출입하는 숨결이 조용하며 가늘지 못하다. 4) 식상(息相) :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마실..

왕배생(王培生)노사가 전한 태극권 내공(內功)의 연습 방법

1. “각호흡법(脚呼吸法)”의 또 다른 명칭은 “종제호흡법(踵提呼吸法)”이며, 간략하게 “종식법(踵息法)”이라고 부른다. 연습 방법은 뒤꿈치를 들어 올리며, 뜻은 뒤꿈치에 집중한다. 가볍고 천천히 지면으로 갔다가 뒤꿈치를 들어 올린다. 이때 감각은 아랫배를 위로 뒤집는 감각이 든다. 뒤꿈치는 잊어버리고 엄지발가락을 생각하고 가볍고 천천히 지면으로 갔다가 엄지발가락을 치켜세운다. 이때의 감각은 아랫배를 밑으로 뒤집는다. 아랫배를 위로 뒤집었다가 아래로 뒤집으면 단전(丹田)이 안쪽으로 회전한다고 말하고, 또한 “번강파해(?江播海)”라고 말한다. 그런 뒤에 엄지발가락은 잊어버리고 다시 뒤꿈치를 들어 올리고 다시 엄지발가락을 치켜세운다. 이와 같이 한 번 들어 올리고 한번 치켜세우는 것을 반복해서 9회를 연습한..

양가태극권과 진가태극권의 차이

진식 태극권은 태극권(泰極拳)은 각종 기법의 변화를 음양(陰陽)과 허실(虛實)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동작에 있어서는 개와 합(開合), 원과 방(圓方), 권과 방(捲放), 경과 침(輕沈), 유와 강(柔剛), 만과 쾌(慢快)를 주체로 한다. 각 신법의 배합도 지극히 합리적으로 되어 있으며 각 동작은 좌우(左右), 상하(上下), 안팎(內外), 대소(大小), 진퇴(進退)가 섞여 있어 통일된 조화를 이룬다. 타 무술을 수련하는 사람도 태극권의 원리를 연구한다면 자신의 기법 발전에 많은 변화를 얻어낼 수 있다. 태극권이 외형상으로 독특한 형태를 갖추는 이유는 내공(內功)의 기초 위에 외공(外功)을 첨가하기 때문이며 수련을 할 때는 의식을 집중하여 기법을 연마할 뿐 강제적인 힘을 쓰지 않는다. 이것을 태극권의 ..

알렉산더 테크닉 원리

알렉산더 테크닉 10p 1. 2. 3. 핵심 용어에는 이렇게 적혀 있지요.. 알렉산더 테크닉 내몸의 사용법 중에서 ​ 1. 함(doing) 하는 것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과 요구에 의해 불필요한 긴장과 애씀이 동반된 '행위'를 의미. 이 책에서는 문맥에 따라 '함' '하다' 등 다양한 표현으로 혼용했다. ​ 2. 하지 않음(Non-doing)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긴장과 애씀이 동반된 '함(doing)'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 이를 통해 불필요한 긴장 노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 3. 디렉션(dirction) '인지적 메세지+공간적 방향성'을 동시에 가지는 언어 정보로, 무의식적인 습관적 행동이 몸감각적으로 수정되어 본래의 올바른 몸의 상태를 되찾게 해 주는 의식..

김정민박사 강의 - 샤머니즘 문화

[ 김정민박사 강의 - 샤머니즘 문화 ] ▶ 제 1부 : 새머리 관 유라시아의 알타이민족문화를 보면 하나같이 공통적으로 새를 신성시한다. 고려시대 때 우리나라에서 매 사냥이 유행했다고 하는데, 매 사냥은 평민이나 천민은 할 수 없는 귀족들만의 놀이였다. 그 이유는 새, 특히 까마귀, 부엉이, 독수리 등등의 조류는 하늘의 탱그리와 접촉할 수 있는 신성한 새라고 여겨서 하늘로부터 선택 받은 사람들만이 이 새의 깃털이나 가죽으로 옷이나 장신구를 만들어 착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새를 머리에 장식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 몽골의 국기를 보면 상징물 (소욘보)이 있는데 그걸 보면 불과 원과 초승달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불이 붙은 원은 금성을 뜻하는데, 예전에 쓴 글인, 샤머니즘 제 1부 세상의 창조..

버켈랜드 전류와 머카바 과학

youtu.be/t0oi80Q9bOc 동영상 Next level of existence (part 2/2) - Drunvalo Melchizedek See you in Sedona in March 9-13 2015 or online! Link to register: http://tinyurl.com/drumarch This is Drunvalo’s most advanced workshop to date for students ... youtu.be 3:55 드룬발로: 우주에서 제일 빠른 것은 빛의 속도라고 알죠. 초속 삼십만 키로미터죠. 그건 정말 빠르죠. 근데, 전부 상대적이에요. 빠른 건 사이즈와 상대적인 것처럼요. 근데 우주의 지금 알려진 기존 크기는 134억광년 사이즈에요. 빛이 1년 동안 갈 거..

천부경과 369 테슬라 코드

369 테슬라 코드 재해석 금척 자료를 검색하다가 아주 좋은 자료를 발견했습니다. 앞에서 소개한 동영상으로서, 제가 나이가 나이인 만큼 취약할 수밖에 없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수리의 본질에 접근한 뛰어난 영상입니다. 아주 훌륭한 동영상이긴 한데, 테슬라가 천부경과 증산하느님을 몰랐기 때문에 몇 가지 보충해야할 내용들이 발견되네요. 전통사상과 태을도인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기 바라는 마음으로, 오랜만에 제가 옛날에 썼던 천부경 해설을 꺼내어 테슬라의 369코드와 연결시켜 두려 합니다. 이 설명을 읽기 전에 369 테슬라 코드 동영상을 반드시 보셔야 합니다. 설명에 필요한 부분은 캡처를 해서 소개해 두었지만, 영상편집까지는 실력이 안되는 관계로 시도하지 못했거든요. 영상의 내용이 이해가 된 다음에 제 설명을 보..

강상원박사 동이는 천문학자?. 지구의 소리 "옴"

옴(OM) 지구의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모든 물질은 원자와 전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고유한 진동수를 지니고 있다. 진동, 즉 움직이는 것 때문에 소리가 난다. 물체나 물질로 부터 발생한 진동은 공기나 물을 통과하여 사람의 귀에 들리는 것이다. 그래서 공기나 물 같은 매개질이 없으면 사람은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지구의 소리는 지구에서만 들을 수 있고 우주로 나가면 들리지 않는다. 우주공간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이다. 지구는 물, 공기, 흙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구체이다. 그런 지구도 물질의 덩어리인 관계로 고유한 진동수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면 지구가 우는 소리를 누가 들어보았는가? 이런 황당스런 질문에 답을 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명상을 하면, 지구의 소리가 '..

발경

중국무술의 발경(發勁) 몇년전만 해도 무술의 발경에 관한 이론을 보여주거나 시범을 하게 되면 속임수에 의한 허무맹랑한 것으로 여기며 미친 사람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은 무술의 대중화가 이루너진 시대인 만큼 미국 일본을 비롯해 여러나라에서 발경의 이론이 인정되고 있다 상대가 공격을 가해왔을때 그공격이 펼쳐지는 마지막 단계가 가장위력적이고 최대한의 효력을 발휘되는 순간이다 방어를 하려면 공격을 시작하는 순간이나 진행되고 있을때에 하게 된다 상대가 방어할수있는 이유는 확실한 거리에서 손과 발을 구부렸다가 펴면서 치거나 차고 큰 동작으로 휘둘러 사용하기때문이다. 따라서 방어가 곤란하고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상대를 공격하는 어떤 것인가를 연구하게 되었는데 상대와의 아주가까운 거리에서 공격할수있는 방법이 촌경(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