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분류 전체보기 326

주동근 , 길항근, 협력근으로 알아보는 근육 불균형

흔히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하면 얀다(Janda)의 교차증후군(cross syndrome)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얀다는 일부 근육들이 교차적으로 특정 규칙에 의거하여 긴장(tightness) 및 단축(shortening), 그리고 약화(weakness) 및 신장(lengthening)에 따른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의 교차증후군(cross syndrome)을 정립하였습니다. 해당 이론은 오늘날까지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의학(medicine), 물리치료학(physical therapy), 운동학(kinematics) 등이 됩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에 대한 개념은, 얀다(Janda)가 정립했던 교차증후군..

Cross extensor reflex와 Dynamic system theory를 활용한 스포츠 퍼포먼스 프로그램 디자인 (Frans bosch 저서 참고)

Bosch의 트레이닝의 기반이 되는 motor control theory는 왜 어떤 운동은 퍼포먼스 향상에 도움이 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은지를 설명해준다. Motor control system에는 두개의 컨트롤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빠르고 무의식적으로 컨트롤 되며, 다른 하나는 느리고 의식적으로 컨트롤 된다. 스포츠에서 많은 움직임들은 매우 빠르고, 미리 예견되지 않으며, 자동적으로 반응해야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억에 의한 input 이나 뇌의 부분을 거치지 않고 수행된다. 이것은 스포츠 선수들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디자인할때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Specificity and transfer Bosch는 퍼포먼스 향상 목적의 specific transfer을 위한 다섯개의 카테고리를..

고리뒤통수관절(환추후두관절, atlanto-occipital joint)

우리 몸을 이루는 주요관절로 고리뒤통수관절(환추후두관절, atlanto-occipital joint)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고리뒤통수관절은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와 척추뼈(추골, vertebra) 중 첫째 목뼈(경추, cervical vertebrae)인 고리뼈(환추, atlas) 사이의 관절입니다. 두 뼈가 관절하는 부위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고리뒤통수관절(환추후두관절, atlanto-occipital joint)은 뒤통수뼈관절융기(후두과, occipital condyle)라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과 고리뼈(환추, atlas) 가쪽덩이(외측괴, lateral mass)의 위관절면(상관절면, superior articular surface)이라는 오목한 부분이 서로..

전사경

태극권(太極拳)은 권식의 특징과 성향에 따라 양씨 태극권(楊氏 太極拳), 진씨 태극권(陳氏 太極拳), 오씨 태극권(吳氏 太極拳), 무씨 태극권(武氏 太極拳), 손씨 태극권(孫氏 太極拳)으로 나눕니다. 그 중 진씨 태극권은 대부분의 동작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나선형(螺旋形)의 비틀린 움직임이 유발됩니다. 몸을 (타)원으로 움직여 발생하는 나선형의 움직임을 '꼬인 실'이라는 의미의 ‘전사(纏絲, Coiling)’라고 하며, 전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힘을 ‘전사경(纏絲勁, Coiling power, Chan Jin)' 이라고 합니다. (왼쪽) 人身纏絲正面圖 (오른쪽) 人身纏絲後面圖 (일부수정) 위 그림은 진씨 태극권의 대표적인 책인 진흠(陳鑫)이 지은 "진씨태극권도설(陳氏太極拳圖說)"에서 전..

나선전사(螺旋缠丝)-진가구 태극권학교의 칠판(3)

우리 인체의 뼈와 인대 그리고 중심을 가장 최적화 해서 힘을 전달시키는 구조가 바로 전사경(缠丝劲)이다. 나선전사(螺旋缠丝)를 통해서 뼈와 인대가 강해지고 기혈이 소통되고 관절은 더욱 건강해 진다. 투로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 전사경이 유지될 때 태극권의 기세(氣勢)와 품격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웰빙태극권에서는 바로 이 전사경이 모든 동작의 기본이 된다. 전후좌우상하가 바로 이 전사경을 통해서 동작의 일체감과 함께 탄성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Well Being Taiji Center 태극권에서 진식태극권만이 가진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전사경 즉 나선전사(螺旋缠丝). -Well Being Taiji- 나선형태로 감아도는 경(劲) 태극권에서 진식태극권만이 가진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전사경(缠丝劲)이다...

순기자연(顺其自然)-진가구 태극권 학교의 칠판(2)

진소성 노사께서 칠판 제일 상단에 이렇게 써 놓았다. 아래에는 영어로 . '슌치쯔란'. 한 마디로 '자연스럽게 해라!'라는 뜻인데 근데 왜 잘 안될까? 그만큼 국내외 모든 진가태극권 수련자가 공통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 부분이고 반복 실수를 저지르는 부분이기 때문에 써 놓은 것일게다. 태극권에서 '순기자연(顺其自然)'이라는 말을 강조하는 이유는 투로를 할 때, 몸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억지로 표현하지 말고, 그야말로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하라는 뜻. Well Being Taiji Center 순기자연(顺其自然). 태극권이 요구하는 기본적인 요결이 몸에 밸 때 그야말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Well Being Taiji- 진소성 노사의 일상지적 '쯔란!' 진가구에서 수련하면 진소성 노사께서 수련생들에게 ..

점오돈오(渐悟顿悟)-진가구 태극권학교의 칠판(1)

중국 하남성 진가구 태극권학교 수련실 칠판. 진소성 노사께서 직접 쓰신 태극권 비전(祕傳). -Well Being Taiji- 진가구 태극권학교를 방문했을 때 내가 가장 인상깊게 본 장소가 바로 칠판. 이 곳 수련실은 한국과 중국은 물론 전세계 20여개국의 다양한 수련생들이 진소성 노사께 직접 지도를 받는 장소다. 진가구태극권학교의 진소성 노사(老师)(진식태극권 19대 전인(传人))께서 직접 쓰신 이 칠판의 글들은 모두 수련현장에서 전수하는 태극권의 핵심 비전(祕傳). 칠판에 적혀있는 글귀들은 마치 한시(漢詩)같기도 하고 불가(佛家)의 수련 화두(話頭)같기도 하다. 오늘부터 진가구 태극권의 비급(祕笈)을 '웰빙태극권' 회원들과 함께 공부하는 마음으로 하나씩 풀어 봅니다. Well Being Taiji C..

다트 프로스져 이중나선

이중 나선구조 Double Spiral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 다트의 이중나선구조 그림 a는 유양돌기에서 시작해서 앞쪽으로 내려오는 이중 나선구조를 나타냅니다. 그림 a의 파란선을 세분화 해보면 왼쪽 유양돌기 / 꼭지돌기 (Mastoid Process) | 왼쪽 흉쇄유돌근 / 목빗근 (Left sternocleidomastoid muscle) | 왼쪽 내 늑간근 / 갈비사이근 (Left internal intercostal muscle) | 오른쪽 광배근 / 넓은등근 (Right latissimus dorsi) | 왼쪽 요방형근 (lumbar quadrate /quadratus lumbrum) | 왼쪽 둔근 / 엉덩이근 (gluteal muscles) | 왼쪽 대퇴사두근(대퇴직근)/넙다리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