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분류 전체보기 326

걷기

걷기 휄든입니다. The busy person's guide to easier movement 에서 요약한 내용입니다. 준비물: 기댈수 있는 의자 1. stand on the floor. 2. 지면과의 접촉을 느껴봅니다. 앞꿈치 뒤꿈치 발의 안쪽과 바깥쪽 어떻게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지.. 머리 목 어깨 몸 골반 .. 몸의 무게를 양발로 느껴봅니다. 양발이 몸의 체중을 어떻게 받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3. 의자 뒤쪽에 섭니다. 오른손으로 의자를 잡습니다. 의자를 잡는 것은 단지 균형을 잡는데 약간의 도움을 얻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4. 오른발을 왼발 앞에 교차 시켜놓습니다. 오른발이 왼발의 바깥쪽에 놓이게 합니다. 발꿈치가 들리지 않게 합니다. 5. 천천히 고관절을 좌우로 움직임니..

발과 발목

Lesson 2 Discovering your feet and ankles 이 학습을 통해 얻게 되는것: 발과 발목의 sensation 증가 1. 바로 누우세요. 어느 다리가 더 지면에 잘 접촉되어 있나요.? 뒤꿈치부터 엄지발가락까지의 길이은 얼마인가요? 측정해 볼수 있을까요. 상상으로.. 어느 발이 더 긴가요. 어느발이 더 넓은가요. 발가락은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나요. 또는 어느 발가락이 더 천장을 향하고 있나요. 2. 업드려 누워보세요. 팔과 머리를 어디에 놓는 것이 더 편한지 살펴보세요. 무릎을 구부려 무릎과 발목이 직각이 되게 하세요. 보지 않고도 발목과 무릎의 각도를 알수 있나요. 3. 양발이 천장을 향하도록 구부렸다가 바닥을 향하도록 구부려 보세요. 이 움직임을 발목의 움직임입니다. 발가락..

척추늘리기

목적: 1.척추에 대한 인지감각훈련 2.척추의 심부안정화 근육의 협응력 훈련 시작자세: 서기(standing Position) 서서 스캔하기 편한 자세로 섭니다. 양발은 골반넓이로 벌리고 발끝(발가락의 방향이)은 중앙을 향하도록 합니다. 발끝을 중앙에 놓는 것이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몸의 긴장을 더한다면 발을 조금 벌려 놓습니다. 이 자세에서 지면과의 접촉을 느껴봅니다. 지면에 닿아있는 발의 부위를 느껴봅니다. 오른발과 왼발이 지면에 닿아있는 면이 차이가 있나요. 앞쪽 발가락, 앞꿈치, 발의 중앙아치와 바깥쪽과 안쪽, 그리고 뒤꿈치에 주의를 기울이며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를 느껴봅니다. 오른쪽 왼쪽 차이가 있나요. 이제는 무게감을 알아봅니다. 오른발과 왼발이 몸전체의 무게를 어떻게 배분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시소호흡

목적: -체간의 가동성과 안정성 증진. -횡격막 움직임 촉진 -호흡기능의 향상( 체간 전체 근력과 협응에 영향) 바로 눕습니다. 바디스캔을 합니다.(1장 신체스캔 참조) 지면에 닿아있는 부위, 들려있는 부위를 알아봅니다. 오른쪽 왼쪽 차이가 있나요.... 호흡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호흡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입니다.코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느껴봅니다. 공기가 몸 안으로 들어갈 때 폐를 가득채워 폐가 팽창되어지는 것을 느껴봅니다. 호흡을 느끼기 위해 일부러 숨을 크게 들이마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연스럽게 우리의 몸을 채우는 공기를 느껴봅니다. 공기가 폐를 채워갈 때 가슴과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느낄수 있나요. 숨을 쉴 때 가슴과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 바로 이런 움직임을 호흡의 움직임이라고..

바디스캔

Body scan 효과: 1. 몸의 전체적인 긴장완화. 2. 다른 움직임을 하기전에 워밍업으로 goood. 3. 좋은 자세습관을 기르는데 도움 4. 휄든을 하는데 있어서 Tuning으로 good. 방법: 한마디로 간단히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 박스의 방법으로 한다. 다리를 쭉 펴고 편안히 누워서 지면과의 접촉을 명확히 느낀다. 1. 접촉의 면적 무게감 2. 압력 3. 길이 4. 전체적인 접촉의 모양 5. 오른쪽 왼쪽의 차이 좀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다리를 펴고 편안하게 눕는다. 팔은 몸통옆으로 놓는다. 혹 이런 자세가 허리를 아프게 한다고 하면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취할수도 있다. 2. 편안하게 누운상태에서 먼저 지면과의 접촉을 느낀다. 지면을 내 몸의 상태를 보는 거울이라고 생각해도 ..

태극권의 진각과 야구의 진각 그리고 족저근막염

진식 태극권에서 금강도대 혹은 금강도추를 할 때 진각(震脚)을 하면, 큰 소리와 함께 깜짝 놀라면서 정말 멋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스포츠 활동을 많이 하다 보니 약한 족저근막염을 앓았던 적도 있었는데요. ​ 족저근막염이란 다른말로 발바닥 근막염이라고도 합니다. ​ 뒤꿈치나 발바닥 근막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서 뒤꿈치쪽이 아픈 질환입니다. 대개 증상은 아침에 기상해서 첫 발을 내딛을 때 뒤꿈치쪽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좀 활동하면 오후되면서부턴 불편함도 사라지고 활동할만 하다가, 다시 다음날 아침 기상시에 또 불편함을 느끼곤 합니다. 뒤꿈치뼈에 붙어있는 발바닥근막이 수면시간 동안 서서히 수축되어서 아침에는 가장 강하게 뒤꿈치뼈를 잡아당겨, 해당 연결부위에 염증과 통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태극권 수련시 무릎의 건강을 위해 주의해야 할 점

태극권이 무릎 관절에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 계속되는 런지로 무릎에 연결된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켜, 관절에 부하를 줄여주며 ​ 이미 무릎의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게도 지속적인 중저강도의 부하가 증상의 호전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관절염 태극권'이라는 것이 있을 정도입니다. 관절염 태극권의 수련모습 저는 수많은 태극권 중에 양식, 정자, 진식 태극권을 수련해 본 대단치는 않은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의학을 공부하면서 접하게 된 바이오메카닉스와 무릎 관절의 생리, 병리를 다 취합하여 고려해 보건대, ​ 태극권이 무릎 관절에 좋다라는 명제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약간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 우선 무릎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무릎관절의 개념도를 보겠습니다. 무릎..

태극권 고관절(과)이 방송(放鬆)이 어려운 해부학적 이유

태극권에서 자세를 낮춘다는 것은 무릎을 굽힌다는 것입니다. 무릎을 굽히고 낮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런 저런 초식들을 하지요. ​ 이 상태에서 무릎의 신전근은 등장성 운동을 하게 됩니다. 중간중간 등척성 운동을 하기도 하지요. ​ 등장성 운동은 무엇이냐 하면, 같은 장력을 준다는 건데, 힘을 계속 주면서 움직여지는 운동이라고 생각하면 단순합니다. ex) 역기, 아령운동 ​ 등척성 운동은 기마자세로 가만히 있는 즉, 척도(길이)가 움직이지 않는 운동입니다. ​ 이 외에 등속성 운동이라고도 있는데, 움직이는 모든 구간에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겁니다. 이건 자연적인 운동과는 좀 거리가 있습니다. 근육 생리학자들이 머리를 짜내서 만든 좋은 기계가 있어야 할 수 있는 운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게 근력키우기..

do and non-do

1. 불필요한 것을 하지 않으면 저절로 된다. 2. 할 수 있는 것(do)과 할 수 없는것(non do)이 있다. 3. 할 수 없는 것(non do)을 하고자 하는 것(do)은 욕심이다. 4. 할 수 있는 것(do)을 하고자 하는 것은 원(wish)하는 것이다. 5. 존재(be)한다라는 것은 있기를 하는 것(do)이다. 원한다는 것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바램으로 표출된다. 목표 달성(end-gaining)이라는 결과에 집중하여 수단과 방법(mean where by)을 가리지 않거나 또는 무시하여 빠르게 달성하고자 한다. 이것은 할 수 없는 것을 하고자 하는 욕심이다. 할 수 있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매순간 방법적인 도구와 수단을 통하여 과정을 맛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매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