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전체 글 326

무릎의 움직임/대퇴골과 경골의 로테이션/ Meniscus 반월판 _ 프랭클린메소드 본리듬

대퇴골과 경골의 로테이션 무릎을 접는, Knee flexion시에 대퇴골이나 경골이 어떻게 움직일지 이야기를 해볼게요. 스쿼트처럼 무릎을 접을 때 우리의 몸을 그림과 같은 테이블이 아니기 때문에 90도로 아무 변화없이 경골과 대퇴골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런 동작을 할 때, 대퇴골과 경골은 Flexion과 동시에 약간의 Rotation을 동반합니다. @cosmopolitan/ godrejinterio 문의 경첩처럼 양쪽의 연결된 부분은 움직이지 않고 각도의 변화"만" 있는 것은 아닙다. 무릎을 접을때 대퇴골과 경골이 flexion이라는 움직임을 하는 동시에 대퇴골은 바깥쪽으로 로테이션하는 External rotation, 경골은 안쪽으로 로테이션하는 Internal rotation을 동반합니다. @hom..

Proprioception(고유 수용 감각)

우리 몸이 살아나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무엇때문일까요? ? 바로 Proprioception(고유 수용 감각) 덕분이랍니다 고유 수용 감각은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과 같은 우리 몸의 감각 중 한 종류이구요. 온 몸 전체에 걸쳐 분포 되어있는 신체 내부 감각 기관이예요 우리 몸의 위치,자세, 움직임 그리고 움직임의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중추 신경계를 통해 두뇌로 전달하는 역활을 해요 출처 구글 이미지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일종의 센서 감각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와닿을꺼예요 깜깜한 밤에 현관문을 열고 집으로 들어왔을때 내 움직임을 감지하고 등불이 자동적으로 환하게 켜지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고유 수용 감각을 깨운다는것은 우리 몸의 쎈서등을 환하게 밝혀 주는 것과 같아요 출처 구글 이미지 그렇다면, ..

Neurocognitive Simulation of Movement

NSM=Neurocognitive Simulation of Movement (움직임의 신경인지 시뮬레이션) Neurocognititve : 신경 인지의 Simulation : 가상현실.(현실 흉내내기) Movement : 움직임 즉, 현실 속의 실제 상황에서의 움직임이 아니라.... 실제 움직임을 만들어 내지 않고 오로지 머리속의 생각을 통해서 신체의 움직임을 상상하는 과정이예요 google image Neurocognative Simulation of Movement에서는 머리가 신경을 통해서 몸으로 메세지를 전달 하는 과정만 이루어 진다고 생각하면 좀 더 쉽게 이해 될꺼 같아요^^ 그럼.. 이쯤에서 의문이 생기실꺼 같아요 실제 움직임을 만들지 않고 생각으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떤 이점이 있을까..

프랭클린 메소드 Bone Rhythms (본 리듬)

오늘은 프랭클린 메소드에서 다루는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들 중에 하나인 Bone Rhythms (본 리듬)에 대해 소개해 드릴께요 Bone Rhythms..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리가 몸을 움직일때 3차원적으로 자연스러운 뼈의 움직임들을 만들어 내게 되는데요. 이런 자연스러운 움직임에는 일정한 리듬이 있답니다. 이런 뼈의 움직임을 프랭클린 메소드에서는 본 리듬이라고 표현하고 있어요. Bone Rhythms은 Franklin Method teacher training Level1 과정을 공부하면서 제가 가장 푹~ 빠져 있던 부분이기도 해요 ^^ Eric선생님의 기발한 발상에 정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답니다 Human Kinetics 본 리듬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tendon, ligaments, ..

축구에 있어서 몸만들기

@@축구에 있어서 몸만들기(v.3.15) (2012.7.1)@@  다음 내용은 그 모든 지식들을, 저의 실생활 축구 경험을 통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방/취사선택 짜집기/비판적 수정의 과정을 거쳐서 전체적으로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동서고금의 아름다운 신체 철학들의 가르침에 매혹되고, 최신의 운동 트렌드의 거대한 변화 조류에 몸을 맡긴 채^^ 겸허하게 배우되 나 자신을 잃지는 않으며 스스로를 성장시켜 나가는 모험을 시작해 볼까요?^^ 최고의 스타일은 '나' 자신입니다! 무술(또는 스포츠)의 목표는 나 자신의 개성을 발현시키는 것이구요~^^   나의 영원한 벤치마킹 대상, (살찐)호돈신^^ // 미국 농구의 전설, 마이클 조던^^   슈팅 등 모든 볼터치는 제가 볼 때, 핵심적인 신체 밸런스만 터득하면 어..

체간부(몸통) 밸런스의 핵심

고관절을 엉거주춤하게(엉덩이를 뒤로 빼고) 굽히고 있으면 ㅡ 노인 분들이 이런 자세이신 경우가 많음. 허리 코어 근육,인대가 약해지시고 관절에 통증이 있으셔서 펴고 싶어도 못 펴시는 것임 ㅡ 몸을 꼿꼿하게 펼 수가 없다. 나는 이제 의자가 무서움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지금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몸을 직립보행 상태로 완전히 발달시켜 놔야 함ㅠㅠ 내 신체 밸런스의 핵심은 폴더처럼 접혀 있는 고관절을 빳빳이 펴고, 힘이 빡 들어간 엉덩이와 어깨의 날갯죽지를 연결하는 등판 근육을 느끼고 또 강화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신체 회전축을 똑바르게 정렬하는데, 몸이 덜 발달된 부위가 걸리적거리는데, 대부분은 몸의 뒷편 근육이 부실함ㅠㅠㅠ 걸으면서 엉덩이에 힘 빡 주는 연습을 해 보면 이것이 분명해진다. 걸으면서 엉덩이에 힘..

신경언어해킹

신경언어해킹 작가 음양진인 출판 성숙한삶 발매 2012.01.31. ------------------------------------------------------------------------------------------------------ NLP: 인간의 오감정보와 표현 양식을 읽고, 그것을 이용하여 감정 상태(State)를 변화시키고, 그를 통해 사물(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생각의 변화를 가져오는 기법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정신을 구축하는 여러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NLP가 괜찮은 기법들이 많지만 막상 실전에 적용해보면 성공확률이 저조하고, 그마저도 필요한 상황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문제가 많다는 비판을 많이 받아왔음 NLH: NLP가 개발자(?)가..

행복한 교실에서 NLP교육의 기초 이해

김 현 재 명예교수(경인교육대학교) 한국NLP교육실천학회장, NLP Trainer 1.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기쁨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성경에서 다음과 갈이 제시하고 있다.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 행복하고, 기뻐하며, 선을 행하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전도서, 3 : 12) 세계적으로 유명한 티벹의 종교지도자인 Dalai Lama는 인생의 목적은 행복에 있고, 그 행복한 삶은 열린 마음, 인자한 가슴, 의미 있는 삶, 행복한 삶으로 인도한다고 했으며, 그의 최근 저서 행복론(2001)에서도 “행복은 외적 조건이 아니라, 마음가짐에 따라 달아 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인은 “행복한 삶을 위한 NLP의 교육적 접근”(2003)에서 ..

신경언어프로그래밍 NLP

목차 1. 개요2. 라포르 2.1. 매칭2.2. 매칭을 응용한 라포르 테크닉 2.2.1. 비판 3. 경험과 오감 3.1. 경험의 두가지 축3.2. 표상체계와 하위양식 3.2.1. 하위양식 변화를 통한 심리치유 기법 3.2.1.1. 타인에게 적용하기 4. 지각의 필터 4.1. 밀턴모형의 최면적 언어패턴 5. NLP 의사소통 모형 1. 개요[편집] 본 항목에서는 NLP에서 사용되는 주요 이론들과 주요 테크닉을 소개합니다. 2. 라포르[편집] 라포르(rapport)는 본래 상담심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신뢰관계를 의미하는 단어다. 라포르의 범위를 더욱 확장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의 친밀감, 신뢰감을 나타내는 단어가 라포르이다. 라포르를 구축하는 이유는 라포르를 구축 할 경우 NLPer[1..

에메랄드 서판

첫 번째 서판. [아틀란티스인 토트의 내력] The History of Thoth, The Atlantean * **** 아틀란티스 사람, 나 토트는 수많은 신비의 스승으로 기록들을 지키는 수호자로 그리고 강력한 왕으로 또 백색 마법사로서 세대에 세대를 넘어 살아 온 자이지만, 이제 아멘티의 호-르 로 떠나려고 함에 즈음하여 나의 뒤를 이을 후세의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되도록 이 위대한 아틀란티스의 장대한 지혜의 기록들을 적어서 남겨 두려고 한다. *** 해설: 아메티(amenti) 의 홀(여러칸)에의 퇴거는 우리들이 주검이라고 부르고 있는 변화를 가르키는게 아니다. 토트는 단적으로 뒤쪽에 생명의 찬 꽃(냉화 :冷花)으로 언급되고 있는 힘의 광선아래에 육체를 눕혀 놓는 데에 지나지 못하는 것이다. 거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