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소마 soma 125

Proprioception(고유 수용 감각)

우리 몸이 살아나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무엇때문일까요? ? 바로 Proprioception(고유 수용 감각) 덕분이랍니다 고유 수용 감각은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과 같은 우리 몸의 감각 중 한 종류이구요. 온 몸 전체에 걸쳐 분포 되어있는 신체 내부 감각 기관이예요 우리 몸의 위치,자세, 움직임 그리고 움직임의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중추 신경계를 통해 두뇌로 전달하는 역활을 해요 출처 구글 이미지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일종의 센서 감각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와닿을꺼예요 깜깜한 밤에 현관문을 열고 집으로 들어왔을때 내 움직임을 감지하고 등불이 자동적으로 환하게 켜지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고유 수용 감각을 깨운다는것은 우리 몸의 쎈서등을 환하게 밝혀 주는 것과 같아요 출처 구글 이미지 그렇다면, ..

Neurocognitive Simulation of Movement

NSM=Neurocognitive Simulation of Movement (움직임의 신경인지 시뮬레이션) Neurocognititve : 신경 인지의 Simulation : 가상현실.(현실 흉내내기) Movement : 움직임 즉, 현실 속의 실제 상황에서의 움직임이 아니라.... 실제 움직임을 만들어 내지 않고 오로지 머리속의 생각을 통해서 신체의 움직임을 상상하는 과정이예요 google image Neurocognative Simulation of Movement에서는 머리가 신경을 통해서 몸으로 메세지를 전달 하는 과정만 이루어 진다고 생각하면 좀 더 쉽게 이해 될꺼 같아요^^ 그럼.. 이쯤에서 의문이 생기실꺼 같아요 실제 움직임을 만들지 않고 생각으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떤 이점이 있을까..

프랭클린 메소드 Bone Rhythms (본 리듬)

오늘은 프랭클린 메소드에서 다루는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들 중에 하나인 Bone Rhythms (본 리듬)에 대해 소개해 드릴께요 Bone Rhythms..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리가 몸을 움직일때 3차원적으로 자연스러운 뼈의 움직임들을 만들어 내게 되는데요. 이런 자연스러운 움직임에는 일정한 리듬이 있답니다. 이런 뼈의 움직임을 프랭클린 메소드에서는 본 리듬이라고 표현하고 있어요. Bone Rhythms은 Franklin Method teacher training Level1 과정을 공부하면서 제가 가장 푹~ 빠져 있던 부분이기도 해요 ^^ Eric선생님의 기발한 발상에 정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답니다 Human Kinetics 본 리듬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tendon, ligaments, ..

신경언어해킹

신경언어해킹 작가 음양진인 출판 성숙한삶 발매 2012.01.31. ------------------------------------------------------------------------------------------------------ NLP: 인간의 오감정보와 표현 양식을 읽고, 그것을 이용하여 감정 상태(State)를 변화시키고, 그를 통해 사물(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생각의 변화를 가져오는 기법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정신을 구축하는 여러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NLP가 괜찮은 기법들이 많지만 막상 실전에 적용해보면 성공확률이 저조하고, 그마저도 필요한 상황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문제가 많다는 비판을 많이 받아왔음 NLH: NLP가 개발자(?)가..

행복한 교실에서 NLP교육의 기초 이해

김 현 재 명예교수(경인교육대학교) 한국NLP교육실천학회장, NLP Trainer 1.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기쁨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성경에서 다음과 갈이 제시하고 있다.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 행복하고, 기뻐하며, 선을 행하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전도서, 3 : 12) 세계적으로 유명한 티벹의 종교지도자인 Dalai Lama는 인생의 목적은 행복에 있고, 그 행복한 삶은 열린 마음, 인자한 가슴, 의미 있는 삶, 행복한 삶으로 인도한다고 했으며, 그의 최근 저서 행복론(2001)에서도 “행복은 외적 조건이 아니라, 마음가짐에 따라 달아 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인은 “행복한 삶을 위한 NLP의 교육적 접근”(2003)에서 ..

신경언어프로그래밍 NLP

목차 1. 개요2. 라포르 2.1. 매칭2.2. 매칭을 응용한 라포르 테크닉 2.2.1. 비판 3. 경험과 오감 3.1. 경험의 두가지 축3.2. 표상체계와 하위양식 3.2.1. 하위양식 변화를 통한 심리치유 기법 3.2.1.1. 타인에게 적용하기 4. 지각의 필터 4.1. 밀턴모형의 최면적 언어패턴 5. NLP 의사소통 모형 1. 개요[편집] 본 항목에서는 NLP에서 사용되는 주요 이론들과 주요 테크닉을 소개합니다. 2. 라포르[편집] 라포르(rapport)는 본래 상담심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신뢰관계를 의미하는 단어다. 라포르의 범위를 더욱 확장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의 친밀감, 신뢰감을 나타내는 단어가 라포르이다. 라포르를 구축하는 이유는 라포르를 구축 할 경우 NLPer[1..

움직임은 뇌를 변화시켜 몸을 치료하고 마음까지 편안하게 한다

차 례 1 몸이 아픈 이유는? 2 긴장이란 무엇인가? 3 치유란? 4 나머지 움직임의 법칙들 5 자유로운 몸과 마음을 회복하기 1 몸이 아픈 이유는? 몸이 아픈 이유는? 상처받은 과거에 대한 기억과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 몸이 아픈 이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만성난치성질환, 자율신경실조증 등 원인 불명의 질환들이 잘 낫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보통의 사람들은 버티고 이겨내고 살아간다 그럭저럭. 하지만 몸과 마음을 긴장하는 사람들과 몸이 약한 사람들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질병의 원인은 역시 구조, 기능, 정신 3방면으로 생각하는 것이 맞겠다. 구조적 이상으로 긴장이 발생한다. 반복되다 보니 기능적으로 약해진다. 그러다 보니 불편한 몸을 이끌고 다니는 마음도 긴장하게 되는 것이다. 치료의 원..

복압을 높여라!

#복압을 높여라! 위, 장, 간장, 신장, 방광, 자궁 등 중요 장기들이 가득한 복부에는 왜 뼈가 없을까요? 그것은 바로 호흡을 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배가 딱딱한 갈비뼈처럼 둘러싸여 있다면 호흡이 얼마나 힘들까요. 배는 숨을 위해 뼈가 없는 것입니다. 복압(intra-abdominal pressure)이란? 우리 몸은 뼈와 막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위와 장 등 중요한 장기가 들어 있는 복부에는 뼈가 없습니다. 복압이란 '복강내압'의 줄임말입니다. 복강이란 복막으로 둘러싸인 배안을 말하며, 주위 근육들 (횡격막, 복횡근, 골반저근군, 척추, 다열근군)로 둘러싸인 안쪽 공간을 말하며, 복강 내압이란 복근과 횡격막의 수축에 의해 복강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합니다. 복압은 신체의 자세를 안..

턱관절 2 [무턱과 주걱턱이 생기는 기전/턱과의 온몸의 관계로 나눈 7가지 자세]

※ ‘좋은 자세’ → 항상 흔들흔들 몸이 흔들리며 온몸의 균형을 잡고 있는 상태 살랑살랑 미묘하게 중심이 이동되며, 각각의 근육이 번갈아 가며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자세의 균형을 잡는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혈액순환이 좋은 상태를 ‘좋은 자세’라고 정의합니다. 반대로 나쁜 자세는 신체의 흔들림이 멈추고, 근육이 항상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혈액순환이 나쁜 상태입니다. 좋은 교합이란 극단적으로 말하면 치열이 뒤죽박죽이어도 상관없습니다. ※ ‘바른 교합’, ‘좋은 교합’ → 저작근 등의 근육에 평소에는 힘이 들어가 있지 않고, 위아래 치아가 맞닿아 있지 않고, 씹을 때는 좌우 근육에 균등하게 힘이 들어가며, 교합 평면이 수평인 상태 그리고 턱이 작아져서 생기는 문제 머리의 위치와 ..

턱관절 1 [바른 자세/좋은 교합/이악물기의 기전/자세가 틀어지는 원인]

1. 바른 자세란 어떤 자세? 좋은 교합이란? 앞에서 여러분들의 이악물기 정도를 체크해 보았습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세가 무너져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바른 교합, 바른 자세는 어떤 자세일까요?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 인간의 신체는 대단히 불안정하다. 인간의 신체는 주위의 상황을 시각이나 청각 등으로 확인하고 판단하는 머리 부분과, 그 머리를 운반하는 목부터 아래의 몸통 2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러 명령을 내리는 사령탑과 그것을 운반하는 수레와 같습니다. 그림1 사령탑인 머리는 성인 남성의 경우 평균 5-6kg입니다. 볼링공으로 치면 11-13파운드 정도 됩니다. 이것이 몸통에서 제일 꼭대기에 돌출된 ‘목’이라고 불리는 가느다란 대롱 위에 올려져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제일 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