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oma Movement

소마 soma 125

굽은등을 위한 ATM

굽은등을 위한 ATM 종종 제가 아는 사람들에게 자세개선을 목적으로 휄든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적용해 봅니다. 제가 아는 한 지인이 서 있을때 등이 많이 굽고 누웠을때 지면으로부터 허리가 많이 들려서 불편을 호소하는 분에게 적용한 나름 ATM입니다. 4회정도 주 1-2회로 4회정도 실시하였는데 허리가 지면에 닿게되는 것이 현저히 좋아졌습니다. 그리고 등도 많이 펴진것을 보았습니다. 며칠 지나면 다시 약간 굽어지기도 했지만 지속적으로 하면 많이 좋아질것 같습니다. 적용내용 1. Body scan(바로 누워서) 2. 바로 누워서 지면에 허리를 가까이하기 3. Body scan(업드려서) : 엎드려서 바디스캔을 할때는 특히 호흡에 앞쪽으로 호흡을 느끼며 좌우로 비교하도록 함. 4. 머리를 들어서 천장보기 실..

걷기

걷기 휄든입니다. The busy person's guide to easier movement 에서 요약한 내용입니다. 준비물: 기댈수 있는 의자 1. stand on the floor. 2. 지면과의 접촉을 느껴봅니다. 앞꿈치 뒤꿈치 발의 안쪽과 바깥쪽 어떻게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지.. 머리 목 어깨 몸 골반 .. 몸의 무게를 양발로 느껴봅니다. 양발이 몸의 체중을 어떻게 받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3. 의자 뒤쪽에 섭니다. 오른손으로 의자를 잡습니다. 의자를 잡는 것은 단지 균형을 잡는데 약간의 도움을 얻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4. 오른발을 왼발 앞에 교차 시켜놓습니다. 오른발이 왼발의 바깥쪽에 놓이게 합니다. 발꿈치가 들리지 않게 합니다. 5. 천천히 고관절을 좌우로 움직임니..

발과 발목

Lesson 2 Discovering your feet and ankles 이 학습을 통해 얻게 되는것: 발과 발목의 sensation 증가 1. 바로 누우세요. 어느 다리가 더 지면에 잘 접촉되어 있나요.? 뒤꿈치부터 엄지발가락까지의 길이은 얼마인가요? 측정해 볼수 있을까요. 상상으로.. 어느 발이 더 긴가요. 어느발이 더 넓은가요. 발가락은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나요. 또는 어느 발가락이 더 천장을 향하고 있나요. 2. 업드려 누워보세요. 팔과 머리를 어디에 놓는 것이 더 편한지 살펴보세요. 무릎을 구부려 무릎과 발목이 직각이 되게 하세요. 보지 않고도 발목과 무릎의 각도를 알수 있나요. 3. 양발이 천장을 향하도록 구부렸다가 바닥을 향하도록 구부려 보세요. 이 움직임을 발목의 움직임입니다. 발가락..

척추늘리기

목적: 1.척추에 대한 인지감각훈련 2.척추의 심부안정화 근육의 협응력 훈련 시작자세: 서기(standing Position) 서서 스캔하기 편한 자세로 섭니다. 양발은 골반넓이로 벌리고 발끝(발가락의 방향이)은 중앙을 향하도록 합니다. 발끝을 중앙에 놓는 것이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몸의 긴장을 더한다면 발을 조금 벌려 놓습니다. 이 자세에서 지면과의 접촉을 느껴봅니다. 지면에 닿아있는 발의 부위를 느껴봅니다. 오른발과 왼발이 지면에 닿아있는 면이 차이가 있나요. 앞쪽 발가락, 앞꿈치, 발의 중앙아치와 바깥쪽과 안쪽, 그리고 뒤꿈치에 주의를 기울이며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를 느껴봅니다. 오른쪽 왼쪽 차이가 있나요. 이제는 무게감을 알아봅니다. 오른발과 왼발이 몸전체의 무게를 어떻게 배분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시소호흡

목적: -체간의 가동성과 안정성 증진. -횡격막 움직임 촉진 -호흡기능의 향상( 체간 전체 근력과 협응에 영향) 바로 눕습니다. 바디스캔을 합니다.(1장 신체스캔 참조) 지면에 닿아있는 부위, 들려있는 부위를 알아봅니다. 오른쪽 왼쪽 차이가 있나요.... 호흡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호흡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입니다.코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느껴봅니다. 공기가 몸 안으로 들어갈 때 폐를 가득채워 폐가 팽창되어지는 것을 느껴봅니다. 호흡을 느끼기 위해 일부러 숨을 크게 들이마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연스럽게 우리의 몸을 채우는 공기를 느껴봅니다. 공기가 폐를 채워갈 때 가슴과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느낄수 있나요. 숨을 쉴 때 가슴과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 바로 이런 움직임을 호흡의 움직임이라고..

바디스캔

Body scan 효과: 1. 몸의 전체적인 긴장완화. 2. 다른 움직임을 하기전에 워밍업으로 goood. 3. 좋은 자세습관을 기르는데 도움 4. 휄든을 하는데 있어서 Tuning으로 good. 방법: 한마디로 간단히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 박스의 방법으로 한다. 다리를 쭉 펴고 편안히 누워서 지면과의 접촉을 명확히 느낀다. 1. 접촉의 면적 무게감 2. 압력 3. 길이 4. 전체적인 접촉의 모양 5. 오른쪽 왼쪽의 차이 좀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다리를 펴고 편안하게 눕는다. 팔은 몸통옆으로 놓는다. 혹 이런 자세가 허리를 아프게 한다고 하면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취할수도 있다. 2. 편안하게 누운상태에서 먼저 지면과의 접촉을 느낀다. 지면을 내 몸의 상태를 보는 거울이라고 생각해도 ..

The body in motion 23,24p

4, Upright Support—Part III: The Spine In the last chapter we looked ac the spine and the muscles along the fronc and back of the body which maintain the upright support of the tunk. Lefs take a closer look now at the spine itself, its remarkable design, and irs specific contributions co our upright support. 4, 수직 지지 - 파트 III: 척추 지난 장에서 우리는 척추와 근육을 정면과 몸의 뒤쪽을 따라 살펴보았습니다. 몸통의 수직 지지를 유지합니다. 이제 척추 ..

소마지성을 깨워라

새로운 패러다임 1. 인간은 자기 감지(self-sensing), 자기 구조화(self-organizing), 자기 재생(self-renewing)을 하는 에너지체로 기능한다. 2. 인간은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3. 중력은 우리의 습관화된 긴장 패턴을 감지하고 여기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기 감지(self-sensing), 자기 구조화(self-organizing), 자기 재생(self-renewing)은 소마지성의 세가지 근본적 특성이다. 이 세가지가 기능해야 자기 지속성(self-sustainable)의 새로운 질서로 나아갈 수 있다. 고유수용성감각과 브레인에 대한 이야기이자. 우리가 살면서 뗄래야 뗄 수 없는 호흡과 중력을 도구 삼아 소마지성을 깨우는 방법들을..

휄든 동영상

https://youtu.be/OFQPcfdVdIc https://youtu.be/ylvPUKcFd1g https://youtu.be/sFZEJpE7fW4 https://youtu.be/kwIHE99afeI 앉기, 서기, 걷기 탐험 1 https://youtu.be/i8S7BV3F_r8 앉기, 서기, 걷기 탐험 2 https://youtu.be/3CbEyrC9hg0 바디스캔 https://youtu.be/zrz7a-w141E https://youtu.be/_WjJxuOvxjE?list=PLE10hOR3P-Vzf77kXPUz-7gkbzXYXKodn https://youtu.be/o7ESNbtSOKo https://youtu.be/W9slnzfhrEo https://youtu.be/c-mLTDwaPhw ht..